학술논문
수호믈린키의 교사론
이용수 148
- 영문명
- Suhomlinsky's View of a Good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저자명
- 팽영일(Paeng, Yeong Il)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1권 제3호, 275~2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호믈린스키의 저작에 나타난 교사론을 분석함으로써 우리의 교육 현실을 타개해 나가기 위한 교훈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의 교사론이 형성된 배경으로서의 그의 생애와 교육 실천 활동의 모습을 살펴본 후 그의 아동관과 교사의 교육적인 소양론에 관한 논의를 분석한 후 그의 교사론이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교사는 자기의 전문 지식을 자기가 가르치는 교과목의 범위를 초월하여 연구하여야 하며, 아동에 대해 충분한 지식과 이해를 토대로 지도하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둘째, 그는 교사는 아동들의 정신생활의 지도자임을 명심하여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셋째, 교사의 교육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업 참관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는 점이다.
넷째, 교사는 교단 일기를 쓸 것을 권하고 있다. 그는 교단 일기를 교육적 중요한 자산으로 보고 있으며, 후일 교육박물관에 보관하면 좋겠다는 아이디어까지 제공하여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hrough the view of a good teacher depicted in Suhomlinsky's works, to obtain a precept that may provide breakthrough for the realities of our education. To this end, his careers and his educational practices were initially investigated as backgrounds for the formation of a good teacher, after which the discussions of his views on children and his theories on teachers' educational attainment were analyze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his good teacher′s theory upon our education ar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uhomlinsky indicates that teachers must study beyond the province of their assigned subject in order to obtain their expert knowledge, and that their instructions must be based upon sufficient knowledge an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Second, he emphasizes the need for the teachers to be reminded constantly that they are the guide of the children's mental life.
Third, he strongly encourages class inspection as a means to promote the educational attainments of teachers.
Fourth, he recommends to keep a teacher's diary. Suhomlinsky considers teachers' diaries as valuable educational assets, and even goes so far as to suggest that they should later be stored in the museum of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