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半島 刻目突帶文土器의 編年과 系譜

이용수  716

영문명
The Chronology and Genealogy of the 'Gakmok Doldae Mun' Pottery of Ko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재윤(Kim Jae You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46호, 31~6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1.0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전환기의 연구는 있었지만, 자료가 부족하여 구체적이지 못했다. 필자는 각목돌대문토기 편년과 계보를 통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Ⅰ기는 신석기 말기 토기와 공반된다. Ⅱ기의 각목돌대문토기는 형식상으로 계열분화기이고, 순수 각목돌대문토기기이다. Ⅲ기는 토기 형식상 이중구연화되는 특징이 보이고, 다른 무문토기들과 공반된다. 이 토기의 상한은 자연환경을 고려한 계보의 출현배경과 관련이 있는데, 중국동북지방의 기온하강과 흥성유적의 C14연대를 참고로 하여 기원전 14-13세기 정도로 보고자 한다. 계보는 북위 40°선 이상의 중국 길림-두만강 지역의 잡곡농경문화를 가진 주민이 기온 하강으로 인하여 더 나은 환경을 찾아 남하하여 한반도 남부와 중서부지역에 정착하고 그들의 문화형태로 나타났다. 이들은 남부지방과 중부지방 강가 충적지에 자리잡고 각각의 문화를 꽃피웠다가 중부지방은 가락동식토기문화와 남부지방은 흔암리식 토기문화와 각각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하한을 맞은 것 같다. 중부지방의 하한은 11세기 정도로 보고, 하한의 편년은 앞으로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Due to the lack of data, understanding the transition from Neolithic to Bronze Ages has been uncertain. This paper deals with this topic by way of chronological as well genealogical aspects of so called 'Gakmok Doldae Mun' pottery'(GDM pottery) - a type of pottery with encircling protuberance around rim or neck. In periodical terms, the development of GDM pottery can be divided into 3 phases. In Phase Ⅰ it coexisted with final neolithic type potteries, In phase Ⅱ it diverged into branches, and finally in Phase Ⅲ it's rim type changed into the folded one and became coexisted with ordinary Mumun potteries. The upper limit of the GDM pottery can be proposed as early as 14-3th centuries B.C. considering the C14 data from the Hung-Sung site as well as overall temperature lowering in northeast China. With lowering temperature, grain cultivating people in Chinese region higher than 40° N.L. moved down, having settled mainly in midwestern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adjusting it's cultural pattern. Branches of GDM pottery bearing cultural tradition seems to have been merged into the Garakdong Culture in midwestern region and the Hunamni Culture in southern region respectively. The time of such merging can be estimated around 11th century B.C. in midwestern region, but some later in southern region.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지역별 출토양상
Ⅲ. 형식분류와 편년
Ⅳ. 출현배경과 계보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윤(Kim Jae Youn). (2004).韓半島 刻目突帶文土器의 編年과 系譜. 한국상고사학보, (46), 31-69

MLA

김재윤(Kim Jae Youn). "韓半島 刻目突帶文土器의 編年과 系譜." 한국상고사학보, .46(2004): 3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