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성곽 자료해석에 대한 이론적 담론

이용수  295

영문명
A Theoretical Discourse for the Interpretation of Baekje's Castles and Citadel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한병길(Byung Geel Ha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46호, 113~13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1.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의 연구대상인 과거문화는 복잡하고 유동적이어서 객관적으로 명백히 말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과거사실은 과거의 인간행위, n-변형, c-변형, 오늘날의 인간행위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고고학자가 글을 전개하는데 사용하는 論法, 도면, 모델이 독자를 현혹시켜서 과거사실을 그럴듯하게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백제성곽을 연구할 때 백제시대의 성곽만 다루고 통일신라·고려·조선의 성곽은 연구대상에서 배제됨으로써, 백제와 통일신라·고려·조선의 성곽은 서로 무관한 듯 단절된 역사를 갖게 되었다. 역사적 전통성을 우리 스스로가 잘라버려, 우리와 상관없는 이방인으로서의 백제를 연구하게 된 것이다. 왜곡된 백제성곽연구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특수역사적 상관유추(特殊歷史的 相關類推)를 통해 논리를 전개해나감과 동시에 은유(隱喩), 환유(換喩), 제유(提喩), 반어(反語)를 써서 記述해야 과거사실 해석의 개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아날학파의 다척도 시간개념, 구조화이론을 제시한 기든스의 에이전시 개념, 호더의 맥락적 접근을 통해 끊임없는 해석나선(解釋螺旋)속에서 변증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문헌사료와 고고학자료에서 나타나는 장기간 연속성을 파악하여 백제·통일신라·고려·조선을 연결시킴으로써, 과거 백제인과 오늘날 우리 사이의 시간적 갭을 메우는 것이 백제성곽연구의 선행과제이다.

영문 초록

Archaeologist can't objectively tell the past culture, the object of one's study, owing to it's complexity and fluidness. The past fact could be falsified by past human action, n-transformation, c-transformation, and present human action. We can make readers misleading and the fact plausible using arguments, charts, and models when we write a paper. Also, castle and citadels of Baekje, Late Silla, Koryo, Chosun have been treated as if they were not correlated with one another, because we excluded those of late Silla, Koryo and Chosun from the object of study. We have seen Baekje people as a stranger not correlated with us, due to our cutting off historical tradition from Baekje by ourselves. One should describe one's text on specific historical relational analogy with metaphor, metonymy, synecdoche and irony for correct distorted Baekje's castles and citadels, if we want them factual. Also, we have to interpret dialectically in a continuous hermeneutic spiral using Annales School's three different time scale, concept of agency suggested by Gidden's structuration theory, and Hodder's Contextual approach. By connecting Baekje, Late Silla, Koryo and Chosun with one another to find out long-term continuity in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records, we can fill up a time-gap between past Baekje people and contemporary us. That'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tudy of Baekje's castles and citadel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고고학 표현의 보수성과 과거사실의 복잡성
Ⅲ. 추론방법
Ⅳ. 맥락적 접근
Ⅴ. 고고학과 역사학
Ⅵ. 종합고찰: 고증적 접근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병길(Byung Geel Han). (2004).백제성곽 자료해석에 대한 이론적 담론. 한국상고사학보, (46), 113-137

MLA

한병길(Byung Geel Han). "백제성곽 자료해석에 대한 이론적 담론." 한국상고사학보, .46(2004): 113-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