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대에서 중세까지 한국과 일본의 傳統 髮形 비교 연구
이용수 315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the Hair Style From Ancient to Medieva Between Korea and Japan:by Goryeo·Gamakura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고경숙(Kyoung Sook Ko)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10권 제2호, 139~1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2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hair styles of Korea from the ancient period to Goryeo period and Kamakura period of Japan were looked into to examine the origin and changes of the hair styles of korea and Japan. During these periods, various types of hair styles were development in both nations, and there existed similar hair styles from the influence of the Tang Dynasty as well as unique hair styles from the cultural differe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
1.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the method of binding hair for everyday life conveniences and the difference in hair styles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in the hair styles of both nations.
2. It was revealed that the hair styles of Korea since its ancient period to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continued on to Goryeo period.
3. The male in Korea put on 'Jo-Woo-Kwan', the male in Japan put on 'O-Mo-Ja'. The forms and names are different but it is same that males of both countries put on a officail hat, and women used a bead and jade.
4. It was revealed that the hair styles of both nations were expressed through the fusion of the culture of the Tang Dynasty and there were identical hair types such as the type of doing two topknots on top of head, the type of doing one big topknot, the type of making circle form around ears, the type of hanging down hair on the both left and fight cheeks, and the type of shaving the part from front to the crow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정제에 따른 염색모발의 착색 및 유지
- 발열조제수의 체지방량 및 복부지방률 감소 효과
- 향기요법 교육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논문심사규정 외
- 화장품 광고에 표현된 메이크업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고대에서 중세까지 한국과 일본의 傳統 髮形 비교 연구
- 高麗 및 송(宋)나라 화장문화(化粧文化)와 발형(髮形)에 관한 연구
- 자연네일과 실크익스텐션의 에어브러시 표현에 관한 연구
- 해양심층수 함유 화장품의 피부보습 효과
- 조선시대 기생(妓生)의 화장법에 관한 고찰
-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신체만족도 및 외모관리태도 연구
- UVB로 손상된 피부의 네롤리 오일 유효성
- 섹션의 변화를 활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 아로마테라피가 피부미용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