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make-up and hair-style between Goryeo Dynasty and Song Dynasty of the same age:Based on make-up and hair-style of TV drama Chanchutaehoo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민경(Min Kyung Kim) 채문희(Moon Hee Cha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10권 제2호, 5~1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2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Goryeo Dynasty age ordinary women had preferred to light make-up, but giseng bundae Make-up(dark make up). They had hair-style as like chumagye, ahhwangye and jocheongye. But considering the makeup of the Song Dynasty, and the difference was similar Huh style.
The Make-up artists in Song Dynasty usually used elegant and mild color, but the had preferred splendid style in Tang dynasty.
The make-up & hair artists of TV Drama have an inclination to adopt contemporary trendy style.
The make up style of Song Dynasty was different from the one of Goryeo Dynasty.
There were similarities of hair style between thes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연네일과 실크익스텐션의 에어브러시 표현에 관한 연구
- 향기요법 교육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조선시대 기생(妓生)의 화장법에 관한 고찰
- UVB로 손상된 피부의 네롤리 오일 유효성
- 세정제에 따른 염색모발의 착색 및 유지
- 발열조제수의 체지방량 및 복부지방률 감소 효과
- 화장품 광고에 표현된 메이크업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해양심층수 함유 화장품의 피부보습 효과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논문심사규정 외
-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신체만족도 및 외모관리태도 연구
- 섹션의 변화를 활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 아로마테라피가 피부미용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고대에서 중세까지 한국과 일본의 傳統 髮形 비교 연구
- 高麗 및 송(宋)나라 화장문화(化粧文化)와 발형(髮形)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