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a gisaeng's make up in Chosun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주현(Ju Hyon Kim) 이상은(Sang E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10권 제2호, 17~3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2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Chosun Dynasty, women were looking away beautiful appearance but the female virtues were emphasized. Sometimes a women's makeup was regarded one of the female virtues. They also care about their makeup. On the contrary, they departmentalized the fundamental notions of makeup. The makeup of the middle clas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ivileged class someone like a courtesan and a court lady. This makes for men to think of the different view of womanhood.
Men like to meet a courtesan or concubine, who has a white skin like a precious stone, thin and the possibility butterfly it sat on eyebrow, a peach color cheek, lips as read as a cherry, a nice hair and a well-proportioned figure with a slim waist. But men want to take a wife or daughter-in-law who has a healthy body, a good personality and a sincerer woman. So the courtesan and concubine like a color tone makeup and other women want to keep trying a clean and white skin in Chosun Dynasty.
Before 1876, a make-up culture was developed by courtesans. Now days, we call them a fashion leader. In addition, the mass media begins to pay great attention to their culture again.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ourtesan culture and make-up. And how do they have an effect on the modern cultur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연네일과 실크익스텐션의 에어브러시 표현에 관한 연구
- 향기요법 교육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조선시대 기생(妓生)의 화장법에 관한 고찰
- UVB로 손상된 피부의 네롤리 오일 유효성
- 세정제에 따른 염색모발의 착색 및 유지
- 발열조제수의 체지방량 및 복부지방률 감소 효과
- 화장품 광고에 표현된 메이크업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해양심층수 함유 화장품의 피부보습 효과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논문심사규정 외
-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신체만족도 및 외모관리태도 연구
- 섹션의 변화를 활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 아로마테라피가 피부미용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고대에서 중세까지 한국과 일본의 傳統 髮形 비교 연구
- 高麗 및 송(宋)나라 화장문화(化粧文化)와 발형(髮形)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