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타당도에 대한 통합적 관점
이용수 996
- 영문명
- Unified View on Valid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원석(Wonsuk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1권 제4호, 67~7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타당도 이론에 있어서 최근 학계의 합의라고 할 수 있는 타당도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대두 배경과 특성, 통합적 관점에서의 타당도 증거들을 고찰한다. 타당도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타당도는 검사 활용의 가치와 결과를 포함하여 가능한 모든 증거들을 이론적 틀 안에서 종합하여 얻어진 평가적 판단이며, 이를 위해 통합적 관점은 첫째, 모든 타당화의 원리로서의 구인타당도, 둘째, 가치(value)와 검사 활용 결과(consequences)에 대한 명시적 고려, 셋째, 모든 가능한 증거들을 통한 종합적인 평가적 판단, 넷째, 평가(evaluation)로서의 타당화 과정을 그 특성으로 한다. 이러한 통합적 관점에 입각하여 AERA, APA, NCME는 다섯 가지 타당도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of the unified view on validity,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consensus among validity theorists. In this unified view validity is a unitary evaluative judgment through all possible sources of evidence accompanied by theoretical rationale, including the value implication and the consequences of the test use. In order to do this, the unified view has four characteristics, that is, (1) construct validity as the rationale of whole validation, (2) the explicit consideration of values and consequences of test use, (3) unified evaluative judgment through all sources of evidence, and (4) validation process as evaluation. According to the unified view on validity AERA, APA and NCME present five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