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ISA 2006 정의적 성취에 대한 다층 배경변인의 효과 분석

이용수  682

영문명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the Affective Domain of Korean Students: Results from PISA 2006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손원숙(Wonsook Sohn)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1권 제4호, 81~10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임과 동시에 인지적 성취의 중요한 설명변인으로 알려진 정의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들을 학생․학부모 및 학교 수준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현재 3주기 연구가 종료된 OECD에서 주관하고 있는 만15세 대상의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이하 PISA) 자료를 분석하였다. 정의적 영역 중 특히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핵심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변인으로 파악된 내적동기 즉 ‘과학에 대한 즐거움’에 영향을 주는 배경변인들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수준의 배경변인들을 내용 영역상 7개의 범주로 구분한 뒤, 범주에 따른 연구모형을 위계적으로 설정하여 2수준 다층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적동기에서 나타나는 학교 간 차이는 전체분산의 약 7.49% 정도이었고, 이는 기존 인지적 성취에서의 학교 간 차이에 비하여 작은 수준이었다. 대체적으로 학교수준 보다는 학생•학부모 수준의 배경변인들이 학생들의 내적동기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교사의 수업 방식, 학부모의 자녀 직업에 대한 기대, 학생의 가치, 외적동기, 및 자아신념과 같은 변인들이 내적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영역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ulti-level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affective domain such as intrinsic motivation, and to estimate the strength of their effects on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PISA 2006, which mainly focused on science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students' attitudes to science by student, parent, and school questionnaires. Multi-level statistical models have been used for the estimation of the parameters of interest by means of the software HLM, version 6.0 (Raudenbush, et al., 2004). Results showed that only 7.49% of the total varianc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caused by difference between schools. Generally student and parent variables were more effective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han school variables. The variables such as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arents' reports on science career motivation, Students' value beliefs, Science self-beliefs, and Extrinsic motivation were found to be strongly related to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light of such research results, the importance of affective domain and how to improve students' affective domain such as motivation and attitude within the school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원숙(Wonsook Sohn). (2008).PISA 2006 정의적 성취에 대한 다층 배경변인의 효과 분석. 교육평가연구, 21 (4), 81-105

MLA

손원숙(Wonsook Sohn). "PISA 2006 정의적 성취에 대한 다층 배경변인의 효과 분석." 교육평가연구, 21.4(2008): 81-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