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693

영문명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박현정(Hyun-Jeong Park) 상경아(Kyong-Ah Sang) 강주연(Joo Youn Kang)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1권 제4호, 107~12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사용하여 학생의 배경특성과 학습심리적 특성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경험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3년간에 걸친 사교육 참여 패턴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향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선형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교육 참여 경험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수학성취도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을 3년 동안의 사교육 참여 패턴에 따라 ‘지속적 사교육’ 집단과 ‘간헐적 사교육’ 집단, ‘비사교육’ 집단으로 구분한 다음에 이들 집단 간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세 집단 중에서 지속적 사교육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높고, 간헐적 사교육 집단이 그 다음이며, 비사교육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취도 격차는 학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아서 사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은 집단이라고 해서 다른 집단들보다 성취도가 더 많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어도 성취도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는 사교육 참여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impact of the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 achievement when the students'demographics (gender, prior achievement, parents' monthly income) and psychological traits (internal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controlled for, using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ing technique. Also, the effect of engagement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was examined. We found that students who received more private tutoring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ho received it less in mathematics.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stud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engagement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during three years and examined trajectories of the students' achievement. These groups represent 1) students who receive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2) students who receive private tutoring one or two times at any measurement 3) students who never receive private tutoring at any measur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of mathematics were the highest when students received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The next highest group was students who had private tutoring one or two times at any measurement points and the group with the lowest scores were students who never had private tutoring. However, the group difference through the trajectories of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was consistent at all times. That is, the change scores of students who received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hange scores of other groups. Thus, we concluded that in terms of growth, there was no longitudinal effect of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정(Hyun-Jeong Park),상경아(Kyong-Ah Sang),강주연(Joo Youn Kang). (2008).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평가연구, 21 (4), 107-127

MLA

박현정(Hyun-Jeong Park),상경아(Kyong-Ah Sang),강주연(Joo Youn Kang).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평가연구, 21.4(2008): 107-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