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f the Epistemic Modality in College Writing
이용수 100
- 영문명
- A Study of the Epistemic Modality in College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Eunpyo Lee Seungwon Park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4권 제1호, 45~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and quantity of the epistemic modal verbs, sentence adverbials, and epistemic expressions in the college students" writing. For the study, 52 sophomore medical students in English Reading & Writing class were given the process essay writing assignment, and their essay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in terms of the number of sentences, words, epistemic modal verbs, sentence adverbials, and epistemic expressions. The results show that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students use strong epistemic modal verbs such as must. have to, or should when stating proposition and/or suggestion. It is advised that L2 learners be more exposed to the usage of epistemic modality as the quality of academic writing may depend on the adequate use of the epistemic modality. This study further examines if there is any gender difference in quantitative process essay writing and/or in terms of the epistemic expression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혼합식 학습 전략을 활용한 영어교사 연수 활성화 방안
- Student-centered Speaking Practice Using an MP3 Player and the Text-bulletin Board
- Validation of the Common Metric Scale (CMS)
- 효과적인 영어뉴스청취 지도방안의 개발과 적용
- A Study of the Epistemic Modality in College Writing
- Out-of-Class Listening Activities
- 중등 1급 정교사(영어) 자격 연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The Need for an Alternative Approach to Oral Testing
- 재배열 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효과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회칙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