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배열 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효과
이용수 326
- 영문명
- A stud on the effects of English writing instruction using scrambled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민찬규(Min Chan Kyoo) 정선미(Jeong Sun-Mi)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4권 제1호, 123~1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riting instru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writing instruction using the techniques of scrambled activiti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wo 6th-grade class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lessons for twelve weeks. The pre-and post-test as to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pre-and post-questionnaires as to the affective domain (i.e. interest, self confidence, participation)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results quantitatively. In addition, students" self-evaluations for each experimental unit as well as individual interviews were also collected. This study concluded that writing instruction with scrambled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writing abilities and helps increase students" interest,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n English writing. Thus, it seems that the scrambled activities are useful and effective in elementary school writing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재배열 활동을 이용한 초등영어 쓰기 학습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내용
Ⅴ. 결과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Ⅱ. 재배열 활동을 이용한 초등영어 쓰기 학습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내용
Ⅴ. 결과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혼합식 학습 전략을 활용한 영어교사 연수 활성화 방안
- Student-centered Speaking Practice Using an MP3 Player and the Text-bulletin Board
- Validation of the Common Metric Scale (CMS)
- 효과적인 영어뉴스청취 지도방안의 개발과 적용
- A Study of the Epistemic Modality in College Writing
- Out-of-Class Listening Activities
- 중등 1급 정교사(영어) 자격 연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The Need for an Alternative Approach to Oral Testing
- 재배열 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효과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회칙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