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 사례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도시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이용수 763
- 영문명
- An analysis on support system of learning cities in abroad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변종임(Byan Jong Im) 이경아(Lee Kyung Ah)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153~1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평생학습도시는 전 세계적으로 경제혁신, 사회통합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지역개발전략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그동안의 양적 성장을 토대로 학습도시의 질적 발전을 위한 논의들이 국제기구와 개별 국가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학습도시 사업을 추진해온 주요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평생학습 도시 조성사업’이 보다 체계적,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체제를 혁신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초로 학습도시운동을 시작하여 지난 30여 년 간 가장 활발하게 다양한 형태로 학습도시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는 일본, 1992년부터 학습도시운동을 시작하여 지자체들의 자발적인 노력을 중심으로 학습도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영국, 그리고 영국의 영향을 받아서 주정부 단위로 학습도시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호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외국의 사례는 각 국가의 학습도시 추진 기구,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지원 사업내용과 예산, 유관사업 연계 현황, 도시 간 도시 내 네트워크 현황, 성과분석과 질 관리 평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한국의 평생학습도시 지원체제 혁신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초로 학습도시운동을 시작하여 지난 30여 년 간 가장 활발하게 다양한 형태로 학습도시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는 일본, 1992년부터 학습도시운동을 시작하여 지자체들의 자발적인 노력을 중심으로 학습도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영국, 그리고 영국의 영향을 받아서 주정부 단위로 학습도시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호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외국의 사례는 각 국가의 학습도시 추진 기구,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지원 사업내용과 예산, 유관사업 연계 현황, 도시 간 도시 내 네트워크 현황, 성과분석과 질 관리 평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한국의 평생학습도시 지원체제 혁신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to set up a support system for lifelong learning c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foreign support systems for lifelong learning cities, especially those of Japan, the U.K., and Australia to nurture learning cities were examined. Especially,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ort for learning cities in foreign support system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motion organizations, support details and budgets, networks and partnerships, and quality control and evaluation. Also, concrete suggestions were made through onsite inspections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 types of lifelong learning cities, and the measures to promote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n connection with related government projects were explo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related government projects. Lastly,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abov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 construction of a support system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foreign support systems for lifelong learning cities, especially those of Japan, the U.K., and Australia to nurture learning cities were examined. Especially,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ort for learning cities in foreign support system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motion organizations, support details and budgets, networks and partnerships, and quality control and evaluation. Also, concrete suggestions were made through onsite inspections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 types of lifelong learning cities, and the measures to promote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n connection with related government projects were explo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related government projects. Lastly,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abov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 construction of a support system were developed.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평생학습도시 지원체제의 구성요소
Ⅲ. 외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 사례분석
Ⅳ. 논의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는 글
Ⅱ. 평생학습도시 지원체제의 구성요소
Ⅲ. 외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 사례분석
Ⅳ. 논의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두 개의 내러티브
- 주요국의 평생학습 통계지표 비교분석 - EUROSTAT와 NCES를 중심으로
- 외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 사례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도시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The Degree Completion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in Comparison with the Credit Bank System in Korea
-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연구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교육행위의 본질에 의한 헌법상‘교육을 받을 권리’ 조항의 해석 -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국의 초ㆍ중등 이러닝 동향 분석 - 가상학교의 운영을 중심으로
- 미국 대학 교수-학습개발 센터의 운영과 조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