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두 개의 내러티브
이용수 683
- 영문명
- Two Narratives of Research Experiences of Primar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정광순(Jeong Kwang-Soo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209~2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A(캐나다)와 B(한국) 두 연구자의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내러티브에서 드러나는 초등교육학에 대한 이미지 읽기를 목적으로 하였다.
A와 B의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A와 B는 초등교육과 관계 맺으면서 각각 전문성 혹은 정체성의 문제를 당면했고, 연구를 시작하면서, 그들이 경험으로 알게 된 것과 교육학 이론들이 말하는 것 사이의 불일치를 경험하였는데, 이 경험을 ‘늪’으로 내러티브 하였다. 둘째, A와 B의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을 논문으로 말하기였다. 그들의 연구는 교직 경험에 대한 숙의의 과정이었고, 경험을 통해서 알게 된 것을 논문으로 말하는 것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A의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그림자 그리기(shadowing)로, 그리고 논문을 통해 말하고 싶은 딱 맞는 언어(right words) 찾기로, B의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스케치하기(sketching)로, 그리고 초등교육 현상을 부를 이름 찾기(naming)로 기술하였다. 결국, A와 B의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통해서 학문으로서 초등교육은 아직은 미지의 분야로 생성적 이미지, 학문의 발생적 원천으로서 현상적 이미지였다.
A와 B의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A와 B는 초등교육과 관계 맺으면서 각각 전문성 혹은 정체성의 문제를 당면했고, 연구를 시작하면서, 그들이 경험으로 알게 된 것과 교육학 이론들이 말하는 것 사이의 불일치를 경험하였는데, 이 경험을 ‘늪’으로 내러티브 하였다. 둘째, A와 B의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을 논문으로 말하기였다. 그들의 연구는 교직 경험에 대한 숙의의 과정이었고, 경험을 통해서 알게 된 것을 논문으로 말하는 것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A의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그림자 그리기(shadowing)로, 그리고 논문을 통해 말하고 싶은 딱 맞는 언어(right words) 찾기로, B의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는 스케치하기(sketching)로, 그리고 초등교육 현상을 부를 이름 찾기(naming)로 기술하였다. 결국, A와 B의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통해서 학문으로서 초등교육은 아직은 미지의 분야로 생성적 이미지, 학문의 발생적 원천으로서 현상적 이미지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into researchers" experiences of primary education. Though analyzing stories of their research experiences, in other words, through narrative inquiry including the process of story telling and story retelling, I inquired into a image on primary education of each researcher.
Two participants(A, and B) who have studied or researched in primary education in Canada and Korea was interviewed. The research data were their stories about their research experiences and their books, articles, and other publications.
Research products are;
First, A was experienced primary education as a job, she was been teacher as a researcher till now, wanted to have a voice and to find out the right word about her experiences and teaching. B "s experiences was a swamp of identity of herself as a teacher and researcher, has been oriented her own teaching experience, and she wanted to research it more meaningfully, Her research intended to sketching the images and naming itself.
Second, through A and B"s research experiences, their research was oriented to their teaching experiences in their classroom. Their research focus was naming, finding the right words, making the system as a disciplinary, and their research intend was philosophy about primary education, connection between disciplinary and classroom.
Thus, the idea of primary education as a disciplinary was creating new imagin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this field as a virgin area. And second was a image of lived field.
Two participants(A, and B) who have studied or researched in primary education in Canada and Korea was interviewed. The research data were their stories about their research experiences and their books, articles, and other publications.
Research products are;
First, A was experienced primary education as a job, she was been teacher as a researcher till now, wanted to have a voice and to find out the right word about her experiences and teaching. B "s experiences was a swamp of identity of herself as a teacher and researcher, has been oriented her own teaching experience, and she wanted to research it more meaningfully, Her research intended to sketching the images and naming itself.
Second, through A and B"s research experiences, their research was oriented to their teaching experiences in their classroom. Their research focus was naming, finding the right words, making the system as a disciplinary, and their research intend was philosophy about primary education, connection between disciplinary and classroom.
Thus, the idea of primary education as a disciplinary was creating new imagin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this field as a virgin area. And second was a image of lived fiel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내러티브 스케치
Ⅲ. 초등교육에 대한 연구 경험 이야기
Ⅳ. 초등교육학의 이미지 읽기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내러티브 스케치
Ⅲ. 초등교육에 대한 연구 경험 이야기
Ⅳ. 초등교육학의 이미지 읽기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두 개의 내러티브
- 주요국의 평생학습 통계지표 비교분석 - EUROSTAT와 NCES를 중심으로
- 외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 사례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도시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The Degree Completion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in Comparison with the Credit Bank System in Korea
-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연구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교육행위의 본질에 의한 헌법상‘교육을 받을 권리’ 조항의 해석 -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국의 초ㆍ중등 이러닝 동향 분석 - 가상학교의 운영을 중심으로
- 미국 대학 교수-학습개발 센터의 운영과 조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