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이용수 2,865
- 영문명
- Review on Curriculum Reform in the Canadian Province of Quebec: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소경희(So Kyunghee) 이상은(Lee Sangeun) 박정열(Park Jungyeol)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105~1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직접적인 목적은 캐나다 퀘벡주의 교육과정을 검토하는 데 있다. 퀘벡주는 최근의 교육과정 개혁을 통해 오랫동안 유지해 오던 교육과정을 ‘역량기반’이라는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새롭게 구조화했다. 교육과정에 대한 ‘역량기반 접근’은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지식을 전달하는 관점이 아니라 학생들의 역량 개발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최근의 사회변화에 맞물려 주목받고 있는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역량기반 접근이라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모양새를 띨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동안 활발한 논의나 탐색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점에서 퀘벡주의 역량기반 접근에 의거한 새교육과정은 교육과정에 대한 역량기반 접근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approach by reviewing recently reformed curriculum of Quebec in Canada. Recently, through the curriculum reform, Quebec newly organized the curriculum structure that had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new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its competency-based approach. Competency-based approach to curriculum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petencies rather than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Because of recent societal changes, competency-based approach has drawn great attentions. However, almost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address how competency-based approach can be concretely actualized, and how it can be applied to curriculum design. The new curriculum in Quebec could be appropriate for examining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approach.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context of curriculum reform in Quebec,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Quebec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analyzing the general and subject curriculum. This study ends with discussion about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approach in reference to school curriculu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캐나다 퀘벡주 교육체제 및 최근 교육과정 개혁 동향
Ⅲ. 캐나다 퀘벡주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
Ⅳ.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캐나다 퀘벡주 교육체제 및 최근 교육과정 개혁 동향
Ⅲ. 캐나다 퀘벡주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
Ⅳ.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두 개의 내러티브
- 주요국의 평생학습 통계지표 비교분석 - EUROSTAT와 NCES를 중심으로
- 외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 사례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도시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The Degree Completion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in Comparison with the Credit Bank System in Korea
-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연구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교육행위의 본질에 의한 헌법상‘교육을 받을 권리’ 조항의 해석 -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국의 초ㆍ중등 이러닝 동향 분석 - 가상학교의 운영을 중심으로
- 미국 대학 교수-학습개발 센터의 운영과 조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