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연구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956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Education in the U.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덕(Kim Hyunduk)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화’와 ‘다문화사회’는 20세기 말부터 우리사회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개념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교육적인 대안으로 제안된 것이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이다. 현재 이 두 용어의 관계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 개념과 교육내용, 범위의 측면에서 일선 교사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이 논문은 이 두 개 교육 영역의 차이를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의 발생배경과 발전과정의 비교, 그리고 다문화사회인 미국에서의 두 교육의 개혁사례와 구체적인 수업사례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역사적으로 다른 배경에서 출발하여 그 목적과 교육내용에서도 차이를 보인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은 오랫동안의 반목과 대립관계를 거쳐 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서로 상호협력의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사례비교를 통해 볼 때 서로 다른 동기와 목적을 갖고 출발한 이 두 교육은 주차원의 교육개혁이나 학교현장에서 서로 혼용되어 실시되고 있으며, 학자들도 이 두 교육 분야간의 협력적 관계를 주장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국내문제가 국제적 관점에서 접근되고 국제문제가 국내문제에 구체화되는 현실에서, 이러한 두 교육 분야의 상호 협력관계는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두 교육 분야의 정체성 확립과 상호관계 모색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다른 배경에서 출발하여 그 목적과 교육내용에서도 차이를 보인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은 오랫동안의 반목과 대립관계를 거쳐 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서로 상호협력의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사례비교를 통해 볼 때 서로 다른 동기와 목적을 갖고 출발한 이 두 교육은 주차원의 교육개혁이나 학교현장에서 서로 혼용되어 실시되고 있으며, 학자들도 이 두 교육 분야간의 협력적 관계를 주장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국내문제가 국제적 관점에서 접근되고 국제문제가 국내문제에 구체화되는 현실에서, 이러한 두 교육 분야의 상호 협력관계는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두 교육 분야의 정체성 확립과 상호관계 모색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Since the end of 20th century,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have made a deep impact on the education in Korea.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proposed in response to the recent social changes.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ucational fields through the comparisons of their origins and evolutionary processes. Especially examples of educational reform of both educations in the U. S. and educational practices in American schools were compared.
Historically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tarted with different backgrounds, goals, and contents. Particularly in the U. S., tensions or conflicts had existed between the two fields for a long time. Based on the analysis of American schools, however, there are few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elds in school practices. Now scholars in both field have begun to make conceptual connections between them and complement each other"s theories and practices. There is a growing need to find commonalities between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e countries in the world become more dependent, while these two educational areas are pursuing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Historically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tarted with different backgrounds, goals, and contents. Particularly in the U. S., tensions or conflicts had existed between the two fields for a long time. Based on the analysis of American schools, however, there are few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elds in school practices. Now scholars in both field have begun to make conceptual connections between them and complement each other"s theories and practices. There is a growing need to find commonalities between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e countries in the world become more dependent, while these two educational areas are pursuing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
Ⅲ. 미국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사례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는 말
Ⅱ.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
Ⅲ. 미국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사례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두 개의 내러티브
- 주요국의 평생학습 통계지표 비교분석 - EUROSTAT와 NCES를 중심으로
- 외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 사례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도시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The Degree Completion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in Comparison with the Credit Bank System in Korea
-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연구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교육행위의 본질에 의한 헌법상‘교육을 받을 권리’ 조항의 해석 -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국의 초ㆍ중등 이러닝 동향 분석 - 가상학교의 운영을 중심으로
- 미국 대학 교수-학습개발 센터의 운영과 조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