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초ㆍ중등 이러닝 동향 분석 - 가상학교의 운영을 중심으로
이용수 425
- 영문명
- Recent Trends in E-learning at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in the U.S.: An Analysis of Virtual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강숙희(Kang Sook-Hi)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89~10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 초ㆍ중등 교육에 있어서 사이버가정학습이 2004년 시범사업을 출발점으로 하여 2005년부터 전국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 연계된 다양한 콘텐츠를 중심으로 보충 또는 심화학습을 제공하는 사이버가정학습은 정규 수업으로는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과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수업 형태의 이러닝이 보다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미국의 초ㆍ중등 이러닝 동향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이러닝의 교육적 활용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지원을 목적으로 가상교육을 전담하는 가상학교체제 도입, 정규 수업으로서의 가상수업 인정,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 대상의 운영, 일반 학교에서 개설되지 않은 과목 중심의 가상수업 제공, 외부평가를 통한 가상교육의 철저한 질 관리. 가상학교의 운영을 통해 정규수업으로서 가상교육을 도입하고 있는 미국의 이러닝 정책 및 현황은 국내 초ㆍ중등 이러닝을 재정비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 Korea,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5. Since the main purpose of the system is to provide supplementary and remedial education, it is often difficult to expect students" and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recent trends in e-learning at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in the U.S. in order to draw any possible implications for our e-learning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factors have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U.S. e-learning: running of virtual schools as a support system for conventional schools, acknowledgement of a virtual course as a regular class,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rather than elementary or middle school students, various virtual course offerings not available otherwise, and the administration of external evaluation of the virtual school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국 초ㆍ중등 이러닝 정책
Ⅲ. 미국의 가상학교 현황
Ⅳ. 국내 초ㆍ중등 이러닝에 주는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미국 초ㆍ중등 이러닝 정책
Ⅲ. 미국의 가상학교 현황
Ⅳ. 국내 초ㆍ중등 이러닝에 주는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육 연구 경험에 대한 두 개의 내러티브
- 주요국의 평생학습 통계지표 비교분석 - EUROSTAT와 NCES를 중심으로
- 외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 사례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도시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The Degree Completion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in Comparison with the Credit Bank System in Korea
-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연구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교육행위의 본질에 의한 헌법상‘교육을 받을 권리’ 조항의 해석 -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국의 초ㆍ중등 이러닝 동향 분석 - 가상학교의 운영을 중심으로
- 미국 대학 교수-학습개발 센터의 운영과 조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