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Narrative Approach for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최인자(Choi In-ja)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창간호, 59~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국어교육 현장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내러티브적 접근’의 의의와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국어교육 연구와 실천에서 현장 적합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에 의한 경험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질적 연구는 실제 지금, 여기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교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나아가 격변하는 시대 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이론 모색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내러티브적 접근은 탈맥락적 실증주의나 행동주의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어교육 경험을 실제의 복합적인 맥락 속에서, 그리고 개별 주체의 주관적 의미를 복원하는 데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국어교육 현장을 서사적으로 생각한다면, 그곳은 특정의 인물이 나름의 역사와 지향성을 가지고 특정의 사회 문화적 배경 속에서 살아가는 현장이 되며, 그것을 내러티브화하는 과정에서 심층 의미를 성찰할 뿐 아니라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국어교육 현장연구에서 내러티브적 접근은 언어 경험과 정체성의 연관성, 또 언어교육 경험의 맥락적, 역사적 성격을 복원하여 표준 교육과정의 탈맥락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 연구 내용으로 보자면 국어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이해, 성찰할 수 있는 방법론이 되는데, 특히 그들의 주관적 신념이나 딜레마 혼돈을 드러냄으로써 국어 수업의 전체상을 심층 해석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 학습자들의 배움의 서사를 연구할 수 있다. 서사화 된 배움은 지식적 앎 그 자체에만 국한하지 않고, 삶과의 연관 속에서 실천적으로 작용하는 양상을 살필 수 있다. 내러티브적 접근에서 자료는 다양한 유형의 자전적 서사와 대화적 서사를 활용할 수 있는데, 특히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중요하다. 내러티브적 연구는 일반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타당성, 신뢰성 보다는 개연성을 통한 심층 해석의 기능에 중점을 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mmarize the narrative approach for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empirical research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and to interpret the experienc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y is the narrative Approach important in the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t contributes to think the classroom field narratively. If we think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narratively, we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free-contextual positivism. So, we interpret the teaching in context of the schooling and the subject"s histor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learners have own history and individual meaning of experience. And the teacher"s subject and practical knowledge can be understood. The attribute of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narrative knowing. Because this knowledge is constructed with teacher"s belief and experience. The narrative of the learner and teacher is important domain in narrative approach. For the collection of material, the reacher must the record the subject"s narrative during the long time. In the narrative approach, the proba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validity.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왜 ‘내러티브적 접근’인가?
3. 내러티브적 접근으로 무엇을 연구할 수 있는가?
4. 어떻게 연구하는가? : 내러티브 연구 방법론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왜 ‘내러티브적 접근’인가?
3. 내러티브적 접근으로 무엇을 연구할 수 있는가?
4. 어떻게 연구하는가? : 내러티브 연구 방법론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교육 현장연구 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적 접근법 고찰
- 현장 교사가 살펴본 새로운 교육과정
-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제점 짚어보기 - 초등과정을 중심으로
- 제7차 유치원 언어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현장과 학문이 어우러지는 우리말교육학
-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대상과 범주
- 2007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문제점
- 8차 11-12학년 다중매체 선택 과목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 우리말 가르치는 길잡이, 누가 만들어야 하나?
-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방향
-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언어생활, 마주이야기 교육으로 풀어보기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 7~10학년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필요성
- 회칙 외
- 새 문학 교육과정 검토
- 2007년 개정 ‘문법’ 교육과정 검토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점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