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필요성

이용수  420

영문명
The Necessity of Action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김상욱(Kim Sang-wook)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창간호, 11~3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5.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부분의 연구자들 또한 교사의 시기를 거쳐 왔거나 교사의 지향으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재 교사의 역할과 연구자의 역할, 교사의 실천과 연구자의 실천을 제도는 엄격하게 분리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는 교사의 관점으로나 연구자의 관점으로나 불행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적어도 교사를 매개로 이루어 지는 교실 현장의 관점을 투영시키지 못하는 한 이론은 정합성과 타당성, 현실적합성을 보증 받을 가능성이 없다. 교실 실천 또한 이론적 탐구에 기대지 않고서는 이미 만들어진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적인 역할만을 수행하기에 이르며, 국어교육 전반의 변화 가능성은 찾기 어려울 것이다. 교사/연구자, 연구자/교사라는 이중의 역할들을 동시에 실천함으로써 접점을 더 없이 확장해 가지 않는 한 학교교육을 변화시키기는 난망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이론을 통한 시각의 확립과 함께 그 이론을 뒷받침할 구체적이고 풍부한 논증이다. 저마다의 영역 속에서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노력들과 이론의 현실 적합성을 누구라도 수긍할 수 있는 형태로 개진해 나가는 노력들이 동시에 진척되어야만 국어교육을 보는 새로운 시각의 확립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연구, 다른 실천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제 국어교육연구는 다시금 그 시원인 교실로 되돌아와야만 한다. 연구방법론 역시 이론적인 문헌연구에 그칠 것이 아니라 그 이론들을 끊임없이 검증하는 실질적인 양적, 질적 연구방법론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론이 아니라,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현실의 국어교육을 통해 새로운 성찰을 감행하는방법론이 되어야 한다.
  교실을 연구의 중심으로 설정한다면, 의당 연구의 주체 또한 달라져야 한다. 대학을 배경으로 하는 연구자들이 이론을 검증하는 교실이 아니라, 문제의식 자체가 교실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자면 교사의 시각, 교사의 관찰, 교사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더욱이 교사는 단순히 이론과 실천을 매개하는 중개자이기를 넘어, 그 자신이 새로운 연구 주체로 우뚝 서지 않으면 안 된다. ‘실천의 이론 Theory-of-Practice’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교실이란 동일한 경험의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교사의 실천적인 연구를 조직화해야 한다. 공유하고 수정하고 다시금 공유하는 역동적인 순환의 과정이야말로 교사/연구자의 ‘실천에서의 이론’이 갖는 압도적인 장점이기 때문이다. 이제 국어교육은 현장으로부터의 조용한 혁명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past, most researchers had been teachers or the people who were not teachers at least started with the view of teaching in the classroom when they tackled with the educational topic. However, in current situation, the role of a teacher and the role of a research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much as the practice of a teacher and that of a researcher are. This strict separation of two parts is not desirable because theories which do not reflect teachers" perspectives can not be guaranteed to have validity and practicality. The practice of teachers without theories as well is likely to limit its role only to the delivering knowledge. It looks almost impossible to change the school education with the dichotomy between a researcher and a teacher. What we need to do is establishing perspectives on school education through theories with concrete and rich supporting evidence. In addition,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apply the theories to the field and to prove their practicalities for a consensus am ong researchers, teachers and policy-makers. To do this, different ways of research and practice should be explored. Now,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come back to alpha, the classroom.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should be actively employed other than literature-based review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issues should come from the classrooms not to verify the theories but to provide theories. Teachers" perspectives,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are essential in this renovative process. The awareness that teachers themselves are researchers not just mediator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s requisite.

목차

<요약문>
1. 많은 학회, 적은 교사
2. 경험의 성찰, 이론의 반성
3. 새로운 패러다임, 새로운 주체
4. 가르치는 교사, 연구하는 교사
5. 조용한 혁명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욱(Kim Sang-wook). (2007).국어교육 현장연구의 필요성.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창간호) , 11-33

MLA

김상욱(Kim Sang-wook).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필요성."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창간호).(2007): 1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