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ritical Review on the 8th Multimedia Optional Subject Curriculum in 11-12 grades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권혜령(Gwon Hye-ryung)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창간호, 313~35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0년 초등, 2001년 중학교, 2002년 고등학교에서 단계적으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선택중심교육과정으로 구분하고,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한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었다. 뒤이어 2004년 교육과정 평가원에서는 교육과정의 실태 분석과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시작하여 2007년 2월 새로운 교육과정이 발표되었다.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변화하는 매체 환경과 그 속에서 언어의 존재 양상도 달라지는 것을 수용하여 11~12학년에 ‘매체 언어’라는 새로운 과목을 신설하게 되었다.
본고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매체 언어’ 과목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검토는 교육과정의 체계(성격-목표-내-방법-평가)의 순서에 따르나 그에 앞서 2. 1에서는 매체 언어 교육이 국어교육의 전체 체계에서 독자적 영역으로 다뤄져야 할 것인지 기존의 내용 영역 속에 흡수되어 다뤄야 하는가의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매체 언어교육이 새로운 교육과정의 국민공통교육 과정에서는 여섯 영역 속에 포함되어서 다뤄지고 선택심화과정에서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다루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2.2. 성격에서는 매체 언어의 개념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과목명이자 중요한 개념인 ‘매체 언어’에 대한 개념을 분명히 하고 국민공통기본과정의 국어과목에서도 개념을 일관되게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말했다. 2.3. 목표와 방향에서는 상위 목표와 하위 목표의 진술이 타당한가를 밝혔다. 그리고 매체 텍스트를 비판적 이해의 대상으로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심미적 관점에서 감상하고 즐기는 대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2.4. 내용에서는 (1) 매체 언어의 성격, (2) 매체 언어와 사회ㆍ문화, (3) 매체 언어의 수용과 생산으로 체계를 잡았는데 그에 대한 세부 내용이 적절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다른 연구의 성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체 교육에서 국어교육과 관련되는 내용 영역을 추출하고 이것을 개념적으로 정리하여 접근하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2.5.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서는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서 제작을 중시하겠다고 밝힌 것이 제대로 교육과정 상에 구현되지 않은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지식과 활동(제작)이 분리되지 않고 다뤄져야 하는 점에 대해 말하였다. 교육과정 상에서 교육 내용과 방법, 평가가 분리되어 평가의 기준을 알 수 없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 매체 언어 과목과 관련된 평가 방법을 제시하기보다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음을 문제 제기하고 있다.
매체언어교육에서 위계화의 문제나 매체교육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기준과 방법은 지금 반드시 연구되어야 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이 적용될 시점에는 이에 대한 공론화와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장교사와 대학의 연구자들이 학문적?실천적 공동체를 마련하고 활발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고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매체 언어’ 과목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검토는 교육과정의 체계(성격-목표-내-방법-평가)의 순서에 따르나 그에 앞서 2. 1에서는 매체 언어 교육이 국어교육의 전체 체계에서 독자적 영역으로 다뤄져야 할 것인지 기존의 내용 영역 속에 흡수되어 다뤄야 하는가의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매체 언어교육이 새로운 교육과정의 국민공통교육 과정에서는 여섯 영역 속에 포함되어서 다뤄지고 선택심화과정에서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다루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2.2. 성격에서는 매체 언어의 개념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과목명이자 중요한 개념인 ‘매체 언어’에 대한 개념을 분명히 하고 국민공통기본과정의 국어과목에서도 개념을 일관되게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말했다. 2.3. 목표와 방향에서는 상위 목표와 하위 목표의 진술이 타당한가를 밝혔다. 그리고 매체 텍스트를 비판적 이해의 대상으로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심미적 관점에서 감상하고 즐기는 대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2.4. 내용에서는 (1) 매체 언어의 성격, (2) 매체 언어와 사회ㆍ문화, (3) 매체 언어의 수용과 생산으로 체계를 잡았는데 그에 대한 세부 내용이 적절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다른 연구의 성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체 교육에서 국어교육과 관련되는 내용 영역을 추출하고 이것을 개념적으로 정리하여 접근하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2.5.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서는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서 제작을 중시하겠다고 밝힌 것이 제대로 교육과정 상에 구현되지 않은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지식과 활동(제작)이 분리되지 않고 다뤄져야 하는 점에 대해 말하였다. 교육과정 상에서 교육 내용과 방법, 평가가 분리되어 평가의 기준을 알 수 없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 매체 언어 과목과 관련된 평가 방법을 제시하기보다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음을 문제 제기하고 있다.
매체언어교육에서 위계화의 문제나 매체교육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기준과 방법은 지금 반드시 연구되어야 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이 적용될 시점에는 이에 대한 공론화와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장교사와 대학의 연구자들이 학문적?실천적 공동체를 마련하고 활발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7th curriculum including the Leveled Curriculum was carried out gradually with dividing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and Option Based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in 2000, middle schools in 2001 and high schools in 2002.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has analyzed the actual curriculum and prepared for developing a new curriculum since 2004 and announced a new curriculum in Feb. 2007. Under this circumstances, the new subject "media language" is created in 11th and 12th grades with accepting the changed media condition and the different aspect of languages influenced by this situation.
In this, we analyze and review the "media language" critically in the new curriculum. At first, in 2.1, we think whether media language education is separated or absorbed in the whole education, though reviewing is followed by the order of curriculum (character-object-contents-method-evaluation).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is included in the 6 parts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and separated with the Option Based Curriculum.
In 2.2, the part of character points out the unclear concept of media language. The name of subject and main concept of "media language" should be cleared and also needs to be used coherently with the Korean education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In 2.3, the part of object and aim shows the validity of statement between the superior and inferior object. In addition, this also emphasizes we should think the media text aesthetically and critically.
In 2.4, the part of contents indicates (1) the character of media language (2) media language and society and culture (3)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media language but they are not explained properly. Therefore, the best way is abstracting the contents related with the Korean education in media education and approaching with arranging these by concepts.
In 2.5, the par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acclaims that the production in aim of curriculum developing is not realized well. Moreover, this mentions the knowledge and production should not separated. This also means that there is no way to know the standard of evaluation because educational contents, method and assessment are separated one another. Besides, the method of evaluation is just mentioned abstractly and theoretically.
In media language education, the matter of hierarchical syste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standard of evaluation must be searched, discussed and agreed. Thus,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in schools and researchers in colleges to make a studying and practical community, actively study and discuss.
In this, we analyze and review the "media language" critically in the new curriculum. At first, in 2.1, we think whether media language education is separated or absorbed in the whole education, though reviewing is followed by the order of curriculum (character-object-contents-method-evaluation).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is included in the 6 parts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and separated with the Option Based Curriculum.
In 2.2, the part of character points out the unclear concept of media language. The name of subject and main concept of "media language" should be cleared and also needs to be used coherently with the Korean education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In 2.3, the part of object and aim shows the validity of statement between the superior and inferior object. In addition, this also emphasizes we should think the media text aesthetically and critically.
In 2.4, the part of contents indicates (1) the character of media language (2) media language and society and culture (3)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media language but they are not explained properly. Therefore, the best way is abstracting the contents related with the Korean education in media education and approaching with arranging these by concepts.
In 2.5, the par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acclaims that the production in aim of curriculum developing is not realized well. Moreover, this mentions the knowledge and production should not separated. This also means that there is no way to know the standard of evaluation because educational contents, method and assessment are separated one another. Besides, the method of evaluation is just mentioned abstractly and theoretically.
In media language education, the matter of hierarchical syste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standard of evaluation must be searched, discussed and agreed. Thus,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in schools and researchers in colleges to make a studying and practical community, actively study and discuss.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며
2. 심화 과목 ‘매체 언어’의 교육과정 검토
3. 아직 남아있는 고민들
<참고 문헌>
<Abstract>
1. 들어가며
2. 심화 과목 ‘매체 언어’의 교육과정 검토
3. 아직 남아있는 고민들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교육 현장연구 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적 접근법 고찰
- 현장 교사가 살펴본 새로운 교육과정
-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제점 짚어보기 - 초등과정을 중심으로
- 제7차 유치원 언어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현장과 학문이 어우러지는 우리말교육학
-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대상과 범주
- 2007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문제점
- 8차 11-12학년 다중매체 선택 과목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 우리말 가르치는 길잡이, 누가 만들어야 하나?
-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방향
-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언어생활, 마주이야기 교육으로 풀어보기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 7~10학년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필요성
- 회칙 외
- 새 문학 교육과정 검토
- 2007년 개정 ‘문법’ 교육과정 검토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점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5호 목차
- 전공선택 학생과 미선택 학생의 특성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무전공 입학 대학생을 중심으로
- From Rule-Telling to Rule-Finding: Evaluating Guided Discovery Grammar Instruction in a Korean University EFL Contex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