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GD2002 Coordinates of the National Control Networks and it"s Role in National Land Re-survey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이영진(Lee Young Jin)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23권 제1호, 157~16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위치기준이 되는 국가기준점의 성과는 1907년 대한제국에서 관측을 시작한 이래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에서 좌표를 확정하였고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여 왔다. 다시 최근에는 세계측지계에 의한 위치기준을 새로 도입하여 대한민국경위도원점, GPS상시관측망의 성과를 고시하여 정하였으며 종전의 모든 국가기준점의 성과를 한국측지계2002(KGD2002) 기반으로 새로 산정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측량.지적분야에서 운용하고 있는 국가기준점 성과의 이력에 대해 고찰하고 새로 도입된 세계측지계 기반의 상시관측망 성과를 검토하며, 토지재조사사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측지계2002 기반의 삼각점 성과의 산정내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측량.지적분야에서 운용하고 있는 국가기준점 성과의 이력에 대해 고찰하고 새로 도입된 세계측지계 기반의 상시관측망 성과를 검토하며, 토지재조사사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측지계2002 기반의 삼각점 성과의 산정내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영문 초록
National control networks, which observations are started in year 1907, surveyed by National Land Survey. The coordinates of the network are used as positional reference frame and the networks are maintained by Korea government. Recently, in Surveying Law a geocentric coordinate system is newly introduced, the coordinates of origin point as geodetic horizontal datum is redefined.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s(CORS) coordinates also noticed and coordinates of all points of national control networks are recomputed as suitable to Korea Geodetic Datum 2002(KGD2002).
In this paper,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official coordinates in Korea was reviewed, which is used up to now. The CORS coordinates of world geodetic datum were examined, that introduced in the field of surveying and cadastres. The estimation procedures of KGC2002 on triangulation point were reviewed for application to the National Land Re-survey project.
In this paper,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official coordinates in Korea was reviewed, which is used up to now. The CORS coordinates of world geodetic datum were examined, that introduced in the field of surveying and cadastres. The estimation procedures of KGC2002 on triangulation point were reviewed for application to the National Land Re-survey project.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삼각점의 성과이력
3. 세계측지계와 GPS상시관측소 성과
4. 삼각점의 KGC2002 성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삼각점의 성과이력
3. 세계측지계와 GPS상시관측소 성과
4. 삼각점의 KGC2002 성과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적측량 수행제도의 발전 방안 - 개방업무를 중심으로
- 지적학 교육의 개선에 관한 연구 -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GPS 상시관측소의 절대좌표 경향 분석
- 공동주택 재건축의 자금조달방식에 관한 실증분석
- 구면적과 투영면적의 비교 및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면적변화량 분석
- 筆地 分割制限의 類型과 機能 硏究
- 地籍學 側面에서 본 白頭山定界碑의 役割 硏究
- GIS와 건물경계선을 이용한 지적불부합지 조사 방법
- 토지재조사사업에서 한국측지계2002 성과의 활용연구
- 회원동정 외
- 지적관련법제의 지속가능성 평가모형
- 지적통계연보의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 다중기준국을 이용한 RTK GPS측위의 좌표변동 시험
- 地籍測量遂行者制度의 問題點과 解決方向 硏究 - 地籍測量業者를 中心으로
- 韓國地籍學會誌 揭載論文의 特性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2호 목차
- 신도시개발 과정에서의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아파트 가격 결정 요인과 브랜드 가치 비교 연구 - 울산시 북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