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ole of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in terms of Cadastral Science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조병현(Cho Byung Hyun) 이범관(Lee Beom Gwan) 홍영희(Hong Young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23권 제1호, 17~2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산정계비에 대한 역할을 지적학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가치를 재평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공간적 범위는 백두산을 둘러싼 지역으로 한정하여, 백두산정계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백두산정계비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통하여 백두산정계비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범위에 대한 조사는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백두산정계비는 단순히 국경을 나타내는 비석이 아니라, 지적학 측면에서 국경에 대한 합의사항을 등록·공시한 지적공부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백두산정계비의 역할은 첫째, 인위적으로 설치한 국경선 둘째, 국가간의 경계를 획정한 경계점표지 셋째, 구두합의에 의한 국제조약 내용을 기록한 지적도면의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백두산정계비는 단순히 국경을 나타내는 비석이 아니라, 지적학 측면에서 국경에 대한 합의사항을 등록·공시한 지적공부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백두산정계비의 역할은 첫째, 인위적으로 설치한 국경선 둘째, 국가간의 경계를 획정한 경계점표지 셋째, 구두합의에 의한 국제조약 내용을 기록한 지적도면의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et up research objective to revaluate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in terms of cadastre.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the spatial limitation was defined to area surrounding Mt. Baekdu. A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on the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Through the analysis the actual condition, the role of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was presented.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search method were mainly applied.
The Baekdusan monument purposed not only to show the national boundary but also to play the role of cadastral records which registered and publicly noticed international agreements on the national boundar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refore, the roles of the monument were, firstly, an artificially established national boundary, secondly, a boundary mark between the nations concerned and lastly a cadastral map which registered the content of the international treaty by an oral agreement.
The Baekdusan monument purposed not only to show the national boundary but also to play the role of cadastral records which registered and publicly noticed international agreements on the national boundar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refore, the roles of the monument were, firstly, an artificially established national boundary, secondly, a boundary mark between the nations concerned and lastly a cadastral map which registered the content of the international treaty by an oral agreement.
목차
요약
ABSTRACT
1. 序論
2. 國境標示와 白頭山定界碑에 대한 理論的 考察
3. 白頭山定界碑의 實態 分析
4. 白頭山定界碑의 새로운 役割 摸索
5.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1. 序論
2. 國境標示와 白頭山定界碑에 대한 理論的 考察
3. 白頭山定界碑의 實態 分析
4. 白頭山定界碑의 새로운 役割 摸索
5. 結論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적측량 수행제도의 발전 방안 - 개방업무를 중심으로
- 지적학 교육의 개선에 관한 연구 -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GPS 상시관측소의 절대좌표 경향 분석
- 공동주택 재건축의 자금조달방식에 관한 실증분석
- 구면적과 투영면적의 비교 및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면적변화량 분석
- 筆地 分割制限의 類型과 機能 硏究
- 地籍學 側面에서 본 白頭山定界碑의 役割 硏究
- GIS와 건물경계선을 이용한 지적불부합지 조사 방법
- 토지재조사사업에서 한국측지계2002 성과의 활용연구
- 회원동정 외
- 지적관련법제의 지속가능성 평가모형
- 지적통계연보의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 다중기준국을 이용한 RTK GPS측위의 좌표변동 시험
- 地籍測量遂行者制度의 問題點과 解決方向 硏究 - 地籍測量業者를 中心으로
- 韓國地籍學會誌 揭載論文의 特性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2호 목차
- 신도시개발 과정에서의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아파트 가격 결정 요인과 브랜드 가치 비교 연구 - 울산시 북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