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격의 위계 구조 모형 연구
이용수 262
- 영문명
- A Study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Model of Personal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송인섭(In-Sup Song) 이희현(Hee-Hyun Lee) 김희정(Hee-Jung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9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격척도의 개발 과정에서 측정도구를 통해 얻은 자료들이 구인의 이론적 구조모형에 적합한지를 검증함으로써 구인을 타당화하는 것이다.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활동성, 사교성, 주도성, 호감성, 성실성, 안정성, 개방성을 포함하는 총 138문항이 추출되었으며, 이를 전국의 대도시, 중소도시, 소도시에서 무선적으로 표집된 초등학생 2,165명을 대상으로 양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추론된 잠재변인인 성격의 일반요인과 7개의 성격특성(활동성, 사교성, 주도성, 호감성, 성실성, 안정성, 개방성)으로 구성된 위계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 하였다. 성격의 이론적 구조 중 다양한 하위 성격 특성들을 포함하고 상위의 추론된 잠재변인으로서의 일반 성격요인을 포함하는 위계적 모형이 가장 적합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Personality Scale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amination of the item descriptive statistic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e 138-item final scale consist of activityㆍgregariousnessㆍleadershipㆍagreeablenessㆍconscientiousnessㆍstabilityㆍopenness subscale. Data from 2,16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to confirm the hierarchical structure. The result supported the model has general personality as latent factor and lower order factors as activityㆍ gregariousnessㆍleadershipㆍagreeablenessㆍconscientiousnessㆍstabilityㆍopenness factors. Also, It was discuss that probability to the general personality factor and hierarchical structure of personality.
목차
한국어 초록
Ⅰ. 서론
Ⅱ. 성격의 이론적 구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Ⅰ. 서론
Ⅱ. 성격의 이론적 구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평가연구 게재 원고 모집 안내 외
- 성격의 위계 구조 모형 연구
- A Logistic Crossed Multilevel Model for Analyzing Data with Binary Outcomes
- 수학 학업성취도 수직 척도화 결과의 성별에 따른 집단 불변성 검증
-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척도 개발
- 수능모의고사를 이용한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분석 모형 탐색
- 가상강좌 강의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다차원 문항반응 자료 분석
- 초등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정서적 공감척도의 타당화 및 차별기능문항 탐색
- 위계선형모형으로 추정한 학교효과를 고려하여 고교내신등급을 보정하는 방안
- 학습양식에 따라 평가유형이 수학적 성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사랑’의 요인 구조 분석과 평가
- 준거지향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Rasch 방법의 숙달 학습자 판정 일치도 - 원점수 및 Angoff 방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판 중학생용 도덕성 발달 측정 척도(KDIT) 개발의 가능성 탐색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