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중학생용 도덕성 발달 측정 척도(KDIT) 개발의 가능성 탐색 연구
이용수 1,006
- 영문명
- A Study on Possibility Inquiry of Development of a New Defining Issues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손충기(Son Chung-Ki) 김영태(Kim Young-Tae)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9권 제2호, 41~6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 수준 측정 척도로 활용되고 있는 Rest의 DIT는 계속 그 타당화가 필요하다는 점, 한국 청소년들이 생활 장면에서 접할 수 있는 갈등시나리오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 그리고 갈등상황에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질문 에의 응답을 정확하게 이끌어 낼 수 있는 안내문 개발을 통하여 한국판 중학생용 도덕성 발달 측정 척도(KDIT)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필요성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서 객관식 표준화 척도라고 할 수 있는 Rest의 도덕판단력검사(DIT)를 한국 중학생들이 접하는 생활상의 문제로 전환하여 중학생들의 도덕성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가를 탐색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 기존 DIT의 갈등 시나리오를 중학생들의 생활상의 갈등상황으로 전환하고(남편의 고민⇒‘시험부정행위’, 탈옥수⇒‘집단따돌림’, 의사와 환자⇒‘라이벌 친구’) Rest의 DIT와 동일한 척도체제를 구성하여 4개 중학교 도덕교과 담당교사 외 40명과 성별, 학년별을 고려한 중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2회의 예비검사를 통하여 척도에 등장하는 단어와 지시문의 어려운 사항을 밝히고 이를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척도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한국판 중학생용 도덕성 발달 측정 척도(KDIT)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로 학생을 대상으로 본 검사(지필검사와 웹검사)를 실시하고 담임교사로 하여금 학생 개인별 도덕성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2회의 학생 반응 도덕성 발달 점수와 교사가 평정한 학생의 도덕성 점수 간의 상관도가 각각 r=.576, r=.547 등으로 낮아 척도의 구인타당도가 만족할만한 수준이 못되었다. 또 도덕성 발달 측정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12개 문항의 중요도 평정, p점수)가 각각 .50 이하와 .40이하로 낮아 신뢰할 수 있는 척도로 보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KDIT는 중학생들의 이해수준에의 적합성이 낮기는 하지만 한국판 중학생용 도덕성발달 측정 척도(KDIT) 개발은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서 객관식 표준화 척도라고 할 수 있는 Rest의 도덕판단력검사(DIT)를 한국 중학생들이 접하는 생활상의 문제로 전환하여 중학생들의 도덕성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가를 탐색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 기존 DIT의 갈등 시나리오를 중학생들의 생활상의 갈등상황으로 전환하고(남편의 고민⇒‘시험부정행위’, 탈옥수⇒‘집단따돌림’, 의사와 환자⇒‘라이벌 친구’) Rest의 DIT와 동일한 척도체제를 구성하여 4개 중학교 도덕교과 담당교사 외 40명과 성별, 학년별을 고려한 중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2회의 예비검사를 통하여 척도에 등장하는 단어와 지시문의 어려운 사항을 밝히고 이를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척도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한국판 중학생용 도덕성 발달 측정 척도(KDIT)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로 학생을 대상으로 본 검사(지필검사와 웹검사)를 실시하고 담임교사로 하여금 학생 개인별 도덕성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2회의 학생 반응 도덕성 발달 점수와 교사가 평정한 학생의 도덕성 점수 간의 상관도가 각각 r=.576, r=.547 등으로 낮아 척도의 구인타당도가 만족할만한 수준이 못되었다. 또 도덕성 발달 측정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12개 문항의 중요도 평정, p점수)가 각각 .50 이하와 .40이하로 낮아 신뢰할 수 있는 척도로 보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KDIT는 중학생들의 이해수준에의 적합성이 낮기는 하지만 한국판 중학생용 도덕성발달 측정 척도(KDIT) 개발은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영문 초록
The standardization study by Moon Yong-Lin in 1994 about Rest"s DIT is very useful test of youth moral development, but DIT need to validation study continuously and study for the change to conflict scenario and question items based life situation of Korean youth.
According to these needs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a new Korean Defining Issues Test(KDI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tents and procrdur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change the dilemma story from Rest"s DIT to life situation of Korean youth such as "The agony of one"s husband" story(Heinz) to "cheating", "prison-breaker" to "group exclude", and "the patient and the doctor" to "friend of rival" (2) developed 12 rating questions to be related an importance issue of each dilemma stories (3) developed the KDIT through revised the words and direction sentences include in dilemma stories, instructions, and 12 rating questions from response of 40 middle school teachers and 360 students (4)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D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truct validity of the KDIT for Korea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r=.576 and r=.547 on the pencil test/ web-based test and class teacher"s rating about students" morality. This means relatively low validity of the KDIT.
Seco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about response on 12 rating questions and P score(index of the students" moral development level) of the KDIT showed each below r=.50 and r=.40. This means not reliable KDIT.
Third, dilemma stories and 12 questions of KDIT need to depth validation study continuously should be the fitness the level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se needs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a new Korean Defining Issues Test(KDI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tents and procrdur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change the dilemma story from Rest"s DIT to life situation of Korean youth such as "The agony of one"s husband" story(Heinz) to "cheating", "prison-breaker" to "group exclude", and "the patient and the doctor" to "friend of rival" (2) developed 12 rating questions to be related an importance issue of each dilemma stories (3) developed the KDIT through revised the words and direction sentences include in dilemma stories, instructions, and 12 rating questions from response of 40 middle school teachers and 360 students (4)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D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truct validity of the KDIT for Korea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r=.576 and r=.547 on the pencil test/ web-based test and class teacher"s rating about students" morality. This means relatively low validity of the KDIT.
Seco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about response on 12 rating questions and P score(index of the students" moral development level) of the KDIT showed each below r=.50 and r=.40. This means not reliable KDIT.
Third, dilemma stories and 12 questions of KDIT need to depth validation study continuously should be the fitness the level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한국어 초록
Ⅰ. 서론
Ⅱ. Rest의 도덕판단력 검사
Ⅲ. 연구절차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Ⅰ. 서론
Ⅱ. Rest의 도덕판단력 검사
Ⅲ. 연구절차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평가연구 게재 원고 모집 안내 외
- 성격의 위계 구조 모형 연구
- A Logistic Crossed Multilevel Model for Analyzing Data with Binary Outcomes
- 수학 학업성취도 수직 척도화 결과의 성별에 따른 집단 불변성 검증
-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척도 개발
- 수능모의고사를 이용한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분석 모형 탐색
- 가상강좌 강의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다차원 문항반응 자료 분석
- 초등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정서적 공감척도의 타당화 및 차별기능문항 탐색
- 위계선형모형으로 추정한 학교효과를 고려하여 고교내신등급을 보정하는 방안
- 학습양식에 따라 평가유형이 수학적 성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사랑’의 요인 구조 분석과 평가
- 준거지향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Rasch 방법의 숙달 학습자 판정 일치도 - 원점수 및 Angoff 방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판 중학생용 도덕성 발달 측정 척도(KDIT) 개발의 가능성 탐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