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이용수 1,756
- 영문명
-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경희(Kyunghee Kim) 김신영(Shinyoung Kim) 김성숙(Sungsook KIM) 지은림(Eunlim Chi) 반재천(Jae-Chun Ban) 김수동(SooDong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19권 제2호, 89~11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교육의 내실화와 교실에서의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평가에 대한 욕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평가와 관련된 교사의 업무는 훨씬 복잡해지고 있으며 더불어 신뢰롭고 타당한 학생평가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요청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계발하고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을 개발하였다.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의 5가지 능력요소 즉, “평가방법의 선정”, “평가도구의 개발”, “평가실시ㆍ채점ㆍ성적 부여”, “평가결과의 분석ㆍ해석ㆍ활용ㆍ의사소통”, “평가의 윤리성”에 따라 11개의 기준과 각 기준을 설명하는 구체화된 세부적인 55개의 평가지식과 기술을 개발하였다.
영문 초록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plan for practical use of these standards took a concrete form.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finition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ere explained in this study.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can be defined as "the competence or capability of collecting, interpreting as well as applying the students" assessment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and achievement". This competence is the assessment literacy that should be required before actually assessing the students.
Second,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developed by examining and revising year 2004 TPCSE in depth. The development process are 1) analysis of the concepts in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2) extraction of the competence components 3) description of each standard of teacher"s competence per each competence component 4)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5) Completion of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that are required to do the student assessment.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finition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ere explained in this study.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can be defined as "the competence or capability of collecting, interpreting as well as applying the students" assessment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and achievement". This competence is the assessment literacy that should be required before actually assessing the students.
Second,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developed by examining and revising year 2004 TPCSE in depth. The development process are 1) analysis of the concepts in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2) extraction of the competence components 3) description of each standard of teacher"s competence per each competence component 4)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5) Completion of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that are required to do the student assessment.
목차
한국어 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Ⅲ.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Ⅳ.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Ⅲ.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Ⅳ.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평가연구 게재 원고 모집 안내 외
- 성격의 위계 구조 모형 연구
- A Logistic Crossed Multilevel Model for Analyzing Data with Binary Outcomes
- 수학 학업성취도 수직 척도화 결과의 성별에 따른 집단 불변성 검증
-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척도 개발
- 수능모의고사를 이용한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분석 모형 탐색
- 가상강좌 강의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 비선형 다층모형에 의한 다차원 문항반응 자료 분석
- 초등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정서적 공감척도의 타당화 및 차별기능문항 탐색
- 위계선형모형으로 추정한 학교효과를 고려하여 고교내신등급을 보정하는 방안
- 학습양식에 따라 평가유형이 수학적 성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사랑’의 요인 구조 분석과 평가
- 준거지향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Rasch 방법의 숙달 학습자 판정 일치도 - 원점수 및 Angoff 방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판 중학생용 도덕성 발달 측정 척도(KDIT) 개발의 가능성 탐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