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관한 고찰

이용수  339

영문명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 Review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일(Kim Young-Il)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38권 제3호, 55~8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01
3,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시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적 특성에 관한 경험 연구들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발달 과정을 영 · 유아기, 아동기 및 청소년기로 구분했고 각 시기에 따라 연구 문헌에서 강조되는 사회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고찰의 대상은 시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적 특성을 기술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면서 실증적인 자료를 수집 · 분석한 연구들이었다. 시각장애영아의 사회적 특성과 관련해서 가장 널리 연구된 주제는 부모와의 연대감 형성이었다. 연대감 형성에 있어서 시각이 중요한 감각 통로임에는 분명하나 촉각 등 비시각감각 통로를 통해서 시각장애영아와 부모가 연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도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문헌은 시각장애영아가 사회적 발달의 근본이 되는 연대감 형성에 불리한 상황에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시각장애영아의 어머니는 대체로 자녀의 시각장애로 인해 정서적인 면에서 위기를 경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시각감각을 통한 다양한 의사소통을 시도하기 위한 기술면에서도 연대감 형성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유아들은 일반유아와 비슷한 시기에 언어를 습득함으로써 어머니 등 의미 있는 타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를 확보하게 된다. 시각장애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두드러진 특징은 상호작용이 어머니주도적이고 권위적이라는 점이다. 시각장애유아는 또래들보다는 성인들과 상호작용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협동놀이보다는 혼자서 하는 놀이를 주로 하며, 또래유아와의 사회석 상호작용을 주도적으로 시작하기보다는 반응하는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보다 빈번하다. 일반유아는 초기보다는 시간이 갈수록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차이점을 경험함에 따라 시각장애유아보다는 다른 일반유아들과 상호작용하기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문헌은 보고하고 있다. 경험 연구에 의하면 통합교육음 받고 있는 시각장애 초등학생들은 정안학생과의 친구 관계 형성에 있어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시각장애 초등학생들은 또래들보다는 교사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또래 학생들의 거부 대상은 아니더라도 무시되는 고립형의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적 인지 발달에 관한 연구 고찰 결과, 시각장애 초등학생이 정안 학생들과 사회적 인지면에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일관성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시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감에 관한 연구 문헌은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응 및 사회적 기술의세 영역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통합교육을 주로 실시하는 미국, 네덜란드, 스웨덴, 핀란드 등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시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에서 비중이 가장 큰 구성원은 친구보다 부모라는 점이 일관성 있게 보고되고 있다. 시각 장애 청소년은 방과 후에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기보다는 집에서 정적인 활동(음악 감상이나 텔레비전 청취 등)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고식 조사도구를 주로 사용한 연구들은 시각장애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사회적응 수준이 정안 청소년들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사회적 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검사도구, 역할놀이 수행에 대한 관찰자 평가, 면접 등을 사용한 연구들도 시각장애 청소년이 비시각적 기술(얼굴 표정, 손동작 등)에 있어서 다소 결함을 보이나 전반적으로는 정안 청소년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끝으로, 본 논문은 시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적 특성에 관한 실증연구를 고찰한 결과를 기초로 교육 실제와 후속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했다. 사회적 지각 훈련, 대인문제해결 훈련, 자기주장훈련 등이 시각장애학생들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시각장애학생의 경우 사회적 기술 습득뿐만 아니라 수행에 관한 후속 연구가 특히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empirical studies which describe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this review, major research topics relevant to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for each of the age levels were identified as follows: (a) attachment and play behaviors for infants and preschool-age children: (b)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cognition for elementary-school children: and (c) social network, social adjustment, and social skills for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is review focused only on the empirical studies whose purpose was to describe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is articl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목차

1. Introduction
2.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3.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4.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s
5.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일(Kim Young-Il). (2003).시각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38 (3), 55-80

MLA

김영일(Kim Young-Il). "시각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38.3(2003): 55-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