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language Development with Schema Analysis between Mental Retarded and Hearing Impair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성규(Choi Sung-Kyu)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8권 제3호, 173~19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3,7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언어지도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표적어휘에 대한 의미망 분석을 통하여 전체어휘와 개념어휘 및 의미어휘의 발달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모두 180명이 선정되었다. 비장애아동은 만 5세의 유치원 아동 20명과 만 6세와 7세의 초등학교 아동 각 20명, 정신지체아동은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정신연령 만 5, 6, 7세 아동 각 20명, 그리고 청각장애아동은 특수학교의 유치부와 초둥부 과정에 재학중인 만 5, 6, 7세 각 20명을 대상으로 14개의 보통명사를 제시하여 의미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장애아동은 표적어휘에 대한 개념어휘와 의미어휘가 연속적으로 발달하여 어휘발달에 대한 개념어휘와 의미어휘 지도를 위한 수준별 계획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으나, 정신지체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경우에는 비장애아동에 비해 어휘발달이 모두 지체되었다. 정신지체아동은 청각장애아동에 비해 또한 어휘발달이 지체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와 언어의 차이에 기초하여 정신지체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어휘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지도방안이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between concept and meaning with schema analysis of the three groups which are children with non-disabilities, mental retarded, and hearing impaired. Sixty children with non-disabilities, sixty mental retarded, and sixty hearing impaired who were five, six, and seven years old were participated. Fourteen target words were suggested to approach to schema strategy. The results were that: (a) the non-disabilities group developed the total numbers of vocabularies with increasing age; (b) the mental retarded children delayed to develop the total number of vocabularies; (c) hearing impaired children developed the concept vocabularies based on their age similar with non-disabilities, however the total and meaning vocabularies mental retarded children did not; (d) the mental retarded and hearing impaired groups indicated that development of the vocabularies with different procedures and methods based on the two group's different learning conditions such as the differences fo the thought and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language teaching methods are designed with the children's learning conditions.
목차
<요약>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지체 학생들의 성교육 현황 및 성행동: 교사와 부모간 인식비교
- 의미망 분석을 통한 정신지체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어휘발달에 관한 비교 연구
- 시각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관한 고찰
- 충청남도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및 장애인이 인식하는 편의시설 우선 순위
- 쓰기 전략과 텍스트지식 지도가 청각장애 아동의 이야기 쓰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교육에서 장애아동의 인권침해에 관한 소고
- 장애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이 부적응 학생의 장애에 대한 태도와 대인관계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적 능력 특성 모형: 개념 및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문장작성전략 교수가 문장작성 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기능중심 교과과정이 발달지체유아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형성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 원격 재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설계 지침 개발 -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조성을 위하여 -
- 장애유아의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한 사회적 기술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 지역 내 협력적인 특수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교사 재교육 모형의 개발
- 동료수용·이해훈련 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도덕추론에 미치는 효과
- 특수학교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공개 운영 실태 분석
- 직업재활 분야에서 본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한국과 미국의 장애인 가구의 소득
-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학생의 고등부 교육과정운영 개선 요구
- 경도 정신지체인의 고용상태와 거주형태에 따른 자기결정력과 삶의 질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