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blems and a Reform Measure in Vocational Education at the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Vocational Rehabilitation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오길승(Oh Kil-Su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8권 제3호, 99~13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4,3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을 위한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직업교육이나 직업훈련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해, 이전에 이루어진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직업재활 분야의 관점에서 다시 조명해보고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구체적인 방법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직업교육/훈련 직종, 방식, 내용, 시기, 시설 및 교육기자재, 전 문인력 및 전공과 등 7가지 측면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직업교육이나 직업훈련의 문제점들이 구체적으로 지적되었으며, 직업교육이나 직업훈련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그들 7가지 문제점 각각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었는데, 전체적으로는 성인직업재활체계와 협조 및 연계하는 방안이 강조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esent problems of vocational education or training at our special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 vocational rehabilitation based upon literature review and to find the ways of improvement, cooperation and liaison with adult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s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The problems of vocational education or training were pointed out in terms of job categories, methods, contents, starting time, facilities or equipments, professionals, and specialty classe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7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maximize the outcome of vocational education or training efforts conducted at the special school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me of them,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ir cooperation, role sharing and liaison with adult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s was emphasized.
목차
<요약>
1. 서론
2. 현행 발달장애인을 위한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문제점
3. 개선방안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지체 학생들의 성교육 현황 및 성행동: 교사와 부모간 인식비교
- 의미망 분석을 통한 정신지체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어휘발달에 관한 비교 연구
- 시각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관한 고찰
- 충청남도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및 장애인이 인식하는 편의시설 우선 순위
- 쓰기 전략과 텍스트지식 지도가 청각장애 아동의 이야기 쓰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교육에서 장애아동의 인권침해에 관한 소고
- 장애인 대상 자원봉사 활동이 부적응 학생의 장애에 대한 태도와 대인관계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적 능력 특성 모형: 개념 및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문장작성전략 교수가 문장작성 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기능중심 교과과정이 발달지체유아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형성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 원격 재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설계 지침 개발 -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조성을 위하여 -
- 장애유아의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한 사회적 기술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 지역 내 협력적인 특수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교사 재교육 모형의 개발
- 동료수용·이해훈련 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도덕추론에 미치는 효과
- 특수학교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공개 운영 실태 분석
- 직업재활 분야에서 본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한국과 미국의 장애인 가구의 소득
- 특수학교 학생의 대학진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학생의 고등부 교육과정운영 개선 요구
- 경도 정신지체인의 고용상태와 거주형태에 따른 자기결정력과 삶의 질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