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J. White의 자율성 교육론
이용수 137
- 영문명
- J. White's View of Personal Autonomy i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김희봉(Kim Hee-B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교육철학 27집, 125~1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understand clearly J. White's view of personal autonomy in education and to explore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His view of autonomy has changed from the emphasis on rationality to the emphasis on desires-satisfaction. Lately he counts personal well-being as informed desires-satisfaction. In this conception of well-being, personal autonomy plays a role for the promotion of personal well-being.
J. White defenses personal autonomy as an aim of education in liberal democratic state. For liberal state ought to be neutral with regard to different conceptions of well-being. He argues for stronger sense of personal autonomy than weaker sense of on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the stronger sense, but not weaker, requires critical reflectiveness about basic social structures.
J. White's view makes sense in terms of arguing substansial education for personal autonomy. He insists that education for autonomy must be rooted in the cultivation of a number of altruistic disposition. In this context, he points early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dispositions.
J. White's view of personal autonomy in education has crucial meanings in terms of that it overcomes or complements the limits of rationalist autonom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육목적으로서 자율성
Ⅲ. 자율성 교육
Ⅳ. 논의 및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간호 - 제 26집(1978~2004)까지 敎育哲學 목록
- 왕양명의 아동교육관
- 듀이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 韓溪 李承熙의 地域社會敎育論
- 존 듀이와 평생교육
- 후설의 客觀主義 批判의 敎育的 含意
- 듀이 교육사상에 대한 비판과 재평가 ―사회철학적 측면에서 프래그마티즘을 중심으로―
- 성리학의 사상적 연원에 관한 교육적 고찰
- 한국교육철학회 학회지 간행 규정
-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아와 지식교육
- 「天君傳」에 나타난 心의 수양론
- 金敎臣의 人間化敎育 思想
-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정의와 행복, 그리고 도덕성
- J. White의 자율성 교육론
- 아리스토텔레스와 듀이의 여가개념
- 토마스 아퀴나스 인간학과 교육적 함의
- 대안적 교육방법으로서의 현장견학의 가능성과 그 인식론
- ‘陶山十二曲’ 의 인격교육적 의미
- 듀이 교육목적론 다시 읽기
- Dewey의 의지 개념과 그 교육적 의미
- 역경의 생명적 자연관에 나타난 교육적 인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work-life blending)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