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reading Dewey's theory of the educational aim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김민남(Kim Min-Nam)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교육철학 27집, 15~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has a general goal, to re-read and re-consider Dewey's theory of the educational aim and to re-establish our own theory of education in this society with the help of Dewey's implication. Every step toward the goal must make us come to concretely assert as follows. : any adult generation, who should feel deep pity for uncomfortable lives young generations are confronted with, cannot state the aim of education as making a good citizen or proper supplement of human resources, with education confined to one of national functions.
The author adopts a methodology to re-read Dewey, which can be expressed as 'there are just activities which search for something educational', instead of 'education exists'. That new expression comes from Dewey's definite recognition of human limits, who implied new theory of education should be made on positive reconstruction of human experience. The methodology is put by the author into the following proposition, "it is not only pedagogy but also the educational activity to establish in itself the educational aim", which can be thought to manifest Dewey's view of the world, "only intelligence exists."
As stated, Dewey's expression, 'searching for something educational', surely provides the significant frame of reference to re-establishing our own theory of education composed of 10 elements as follows. : world view, theory of aim, theory of living, theory of learning, theory of inquiry, theory of experience, theory of society, theory of teacher, theory of power, and the adequacy of things educational.
The author suggests our own theory of education should be described as 'a kind of ascetic self-discipline through reciprocal(dialectic) penetration', which can more fully include Korean values in education, such as teacher's commitment to doing his job, parents' devotion to cultivating their children, and everybody's desire to become a man of competence. Loads of things unsolved and unarticulated remain ahead of us in order to firmly build our own theory of education.
목차
Ⅰ. 듀이 교육론을 읽는 ‘방법론’
Ⅱ. 목적 정립의 지성, 표현법
Ⅲ. 유의미성을 산출하는 표현법 : 시간의 문제
Ⅳ. 맺음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존 듀이와 평생교육
- 왕양명의 아동교육관
- 아리스토텔레스와 듀이의 여가개념
- 대안적 교육방법으로서의 현장견학의 가능성과 그 인식론
-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아와 지식교육
- 역경의 생명적 자연관에 나타난 교육적 인간상
- 韓溪 李承熙의 地域社會敎育論
- 「天君傳」에 나타난 心의 수양론
- ‘陶山十二曲’ 의 인격교육적 의미
- 창간호 - 제 26집(1978~2004)까지 敎育哲學 목록
- 토마스 아퀴나스 인간학과 교육적 함의
- J. White의 자율성 교육론
-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정의와 행복, 그리고 도덕성
- Dewey의 의지 개념과 그 교육적 의미
- 듀이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 후설의 客觀主義 批判의 敎育的 含意
- 성리학의 사상적 연원에 관한 교육적 고찰
- 듀이 교육사상에 대한 비판과 재평가 ―사회철학적 측면에서 프래그마티즘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철학회 학회지 간행 규정
- 金敎臣의 人間化敎育 思想
- 듀이 교육목적론 다시 읽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고등학교 지체장애 학생의 직업흥미 분석: 직업흥미검사(NISE-VISIT)를 중심으로
- 가정 순회교육을 통한 AAC 활용 요구 모델 교수가 중도 지체장애 유아의 요구하기에 미치는 영향
-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참여자의 역량 확장 경험과 인식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