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天君傳」에 나타난 心의 수양론
이용수 73
- 영문명
- A Study on the Theory of Moral Culture in 「Chen-kun-je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채휘균(Chae Hwei-kyun)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교육철학 27집, 385~39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 of mind and method of moral culture in Chen-kun-jeon(天君傳). According to this aim, to study Dong Kang Kim Woo Ong's Chen-kun-jeon(天君傳), I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of human mind and principle of human mind. And I researched the meaning of 「Chen-kun-jeon(天君傳)」, in the context of character of mind and method of moral culture.
The background of Chen-kun-jeon(天君傳) is rooted in Nam Myung's Sin-myung-sa-do(神明舍圖). Nam Myung's Sin-myung-sa-do(神明舍圖) is emphasize of Kyung(敬)-Euy(義). Therefore the important point of Chen -kun-jeon(天君傳) and Sin-myung-sa-do(神明舍圖) are the idea of Kyung and Euy. We can say that the essential idea of Nam Myung's school is mastery and practice of Kyung and Euy. Because Nam Myung valued much of Kyung and Euy.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and method of moral culture, Chen-kun-jeon(天君傳) is valued practice of Kyung and Euy. Kyung and Euy was the basis of the inner cultivation and outer in the field of education. Kyung is related to the education honesty, sincerity, purity, and brightness. Therefore Kyung is the basis of cultivating our outer behavior right and proper. We keep our mind bright and right by Kyung controlling our mind. Euy i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cognition and practice. Man's cognition and practice have much to do with the outer world of us. So Euy is the way of pursuing the proper relation between the outer world and us.
목차
Ⅰ. 서론
Ⅱ.「天君傳」에서 심의 특징
Ⅲ. 「天君傳」에서 심의 혼란과 안정회복
Ⅳ. 「天君傳」에 나타난 수양방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간호 - 제 26집(1978~2004)까지 敎育哲學 목록
- 왕양명의 아동교육관
- 듀이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 韓溪 李承熙의 地域社會敎育論
- 존 듀이와 평생교육
- 후설의 客觀主義 批判의 敎育的 含意
- 듀이 교육사상에 대한 비판과 재평가 ―사회철학적 측면에서 프래그마티즘을 중심으로―
- 성리학의 사상적 연원에 관한 교육적 고찰
- 한국교육철학회 학회지 간행 규정
-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아와 지식교육
- 「天君傳」에 나타난 心의 수양론
- 金敎臣의 人間化敎育 思想
-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정의와 행복, 그리고 도덕성
- J. White의 자율성 교육론
- 아리스토텔레스와 듀이의 여가개념
- 토마스 아퀴나스 인간학과 교육적 함의
- 대안적 교육방법으로서의 현장견학의 가능성과 그 인식론
- ‘陶山十二曲’ 의 인격교육적 의미
- 듀이 교육목적론 다시 읽기
- Dewey의 의지 개념과 그 교육적 의미
- 역경의 생명적 자연관에 나타난 교육적 인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마케팅 · 영업 직무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요인 분석 : 성별 및 직무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