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omas Aquinas' Anthropology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조미옥(Jo Mi-ok)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교육철학 27집, 341~36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Views on man are dependent upon ages, cultures, countries and other various factors. The reason Thomas Aquinas was selected as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was that he had an outstanding ability to integrate all the aspects of human nature; he endeavored to amalgamize various trends of thoughts in his genius perspective. In this regard, hi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s considered to go beyond his own age and serve to establish integral views on human nature.
A single word representing Thomas Aquinas' anthropology is the sense of balance on the whole. The philosophy he develops is at the same time dualistic and monistic, and essential and existential. He accept, on the human being, the dualism of the body and the soul. At the same time, he lay emphasis on the unity of them. And Thomas Aquinas believed that the human soul was created by God, and that the human intellect was derived from the ability of the soul.
From this observation arises Thomas Aquinas' conception of existential human beings. He states that individual human beings exist in their different conditions of the body, the soul and the intellect. At the same time, however, he believed that all individual human beings are endowed with dignity since they are of the common divine source. Every human community develops its unique type of culture. That is, culture is none other than the revelation and realization of human essence in the world, hence the personality of a given community.
It may be hoped that Thomas Aquinas' concepts of sense of integral balance and of insights will be of great help in further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at his thoughts and pedagogy will provide solutions to problems facing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o conclude this study, it is reaffirmed that as Thomas Aquinas suggested, the ideal starting point of education should be the basic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love of humani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토마스 인간이해의 배경
Ⅲ. 토마스의 인간학
Ⅳ. 토마스 인간학의 교육적 함의
Ⅴ.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존 듀이와 평생교육
- 왕양명의 아동교육관
- 아리스토텔레스와 듀이의 여가개념
- 대안적 교육방법으로서의 현장견학의 가능성과 그 인식론
-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아와 지식교육
- 역경의 생명적 자연관에 나타난 교육적 인간상
- 韓溪 李承熙의 地域社會敎育論
- 「天君傳」에 나타난 心의 수양론
- ‘陶山十二曲’ 의 인격교육적 의미
- 창간호 - 제 26집(1978~2004)까지 敎育哲學 목록
- 토마스 아퀴나스 인간학과 교육적 함의
- J. White의 자율성 교육론
-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정의와 행복, 그리고 도덕성
- Dewey의 의지 개념과 그 교육적 의미
- 듀이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 후설의 客觀主義 批判의 敎育的 含意
- 성리학의 사상적 연원에 관한 교육적 고찰
- 듀이 교육사상에 대한 비판과 재평가 ―사회철학적 측면에서 프래그마티즘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철학회 학회지 간행 규정
- 金敎臣의 人間化敎育 思想
- 듀이 교육목적론 다시 읽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코스페이시스와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VR 시스템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