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essment frameworks and Quality controls of TIMSS for Inter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Park Chung)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59~7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규모 성취도 평가연구의 성공적인 예로 진행되고 있는 TIMSS의 평가 틀과 연구 질 관리 과정을 분석하여, 우리 나라 대규모 평가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TIMSS 평가 틀의 구성 요소들인 연구목적과 모형, 연구 설계, 평가도구 제작, 평가대상선정 및 시기 결정, 자료분석 과정을 살펴, 평가의 목적과 모형에 따라 평가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TIMSS 연구 질 관리 내용으로 각종 지침서의 종류, 시행과정과 채점기준표의 특징과 과정을 상술하고, 자료 입력 및 검토의 특징을 살펴 우리나라 대규모 성취도 평가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for large-scale assessment of students' achievement in Korea by analyzing assessment frameworks and quality control procedures of IEA/ TIMSS which is the well-known large-scal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since 1959. Assessment frameworks for TIMSS consists of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conceptual model for the study, design of the study, construction of instruments, defining target population, and administrating time. This study describes how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conceptual model in the assessment frameworks lead the following procedures of the large-scale assessment.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quisites of the quality control procedures for TIMSS, which are the general operations manual of TIMSS and the manuals for each step, such as sampling school, administration in school, scoring free-response items, data entering and then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on the large-scale assessment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평가 틀
Ⅲ. 연구 질 관리
Ⅳ. 시사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뉴질랜드의 교육개혁
-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roject Head Start in the united states
- 한국 성인의 문해실태와 OECD 국제비교 연구
- 학부모 참여에 의한 학교교육의 혁신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 독일 오덴발트(Odenwald)학교의 교육실천
- 수호믈린스키(В. А. Сухомлинский)의 노동교육론
- 사회주의 체제 붕괴 이후 러시아 노인교육
- 한국과 중국의 고등교육 수월성 프로그램의 추진체제와 전망 비교 - BK 21(한), 211공정(중)을 중심으로 -
- 일본 교육과정 개정의 특징 및 개정 절차 분석
- 성취도 국제비교 연구 -TIMSS 평가 틀과 연구 질 관리 -
- 1998년 벨파스트 평화협정과 북아일랜드 평화교육의 상관성 - 상호이해교육(EMU)에서 민주시민교육(CE)으로 -
- 미국과 일본의 현직연수제도 동향과 시사점
- 미국의 국제이해교육 동향 및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