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roject Head Start in the united states

이용수  1,135

영문명
미국의 헤드스타트 프로젝트의 종단적 효과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김미경(MiKyung Kim)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109~12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0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실조아동을 위한 교육적 필요는 헤드스타트 운동이 일어나기 전까지 무시되어져 왔다. 심리적으로 성숙하고 발달하기위해 필요한 문화적인 영양분의 결핍은 사회. 경제적 수준이 낮은 빈곤계층 유아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현상이다. 미국의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은 지적, 언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뒤떨어진 빈곤계층의 유아들에게 언어적 기회와 다양한 경험과 지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인지적 발달과업 수행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직접적인 교수의 형태를 제공하여 현재까지 유아교육의 개혁이나 양적확대뿐 이니라 교육내용과 방법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빈곤타파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장기간에 걸쳐 수행된 종단 적 연구의 결과 Perry preschool project가 20년 이상 계속해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은 고등하교, 대학교에서 자신감 검사결과 평균 이상의 점수를 유지하였고 참여하지 않은 유아들 보다 취직도 많이 하고 십대 임신율과 체포 율이 낮았다고 보고한 이래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정 사회 경제적 배경의 유아를 위한 특수프로그램의 편성이 줄게 되고 rf국에는 공립학교 교육의 전체적 비용이 줄어드는 것을 뜻하므로 정부 예산편성국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였다. 미 행정 당국이 내린 결론은 문제 청소년에게 드는 응급처치의 비용이 유아교육에 투자하는 것보다 훨씬 많이 들으므로 유아교육에 더 많은 투자를하는 것이 국가경제에 유리하다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질 높은 프로그램이란 유아를 위한 활동, 영양과 생산적 학습경험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수실제, 조직구조, 제도적 보조를 가리킨다. 학습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그들 주변 세계와의 반응에 의해 일어나며 유아의 계속되는 새로운 경험 속에서 이 전의 학습을 수행하고 확대하는 역동적 과정이다. 따라서 유아가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구하고 또래와 성인들과의 상호작용과 놀이를 통해 이해를 확대하도록 격려하며, 고립된 사실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유아가 학습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도록 연관된 활동 제공을 중요시 한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빈곤계층 가정 유아들을 위한 질 높은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이익을 준다는 연구를 뒷받침해 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사용하는 모든 교육과정 모델들이 발달적으로 적합한 접근방법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지역마다 프로그램의 질이 균등하지 않다. 따라서 빈곤계층의 유아교육접근법은 유아들이 교육 그 자체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으며 정부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빈곤가정이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문제에 대한 접근방법이 연구되지 않으면 성공하기가 어렵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this review of Project Head Start researches is to evaluate the long term effects of Project Head Start. In the mid-1960s, president Lynden Johnson initiated a massive attempts to eradicate social class inequities in the United States. One facet of the "war on poverty" was the preschool intervention program, mounted in the hope of providing young children. Since its inception, Head Start has been the subject of a vast array of studies, varying in quality, design and focus. Head Start research findings address the program's impact in five general areas: cognitive development,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health, families, and communities. In the long-term, participation in these program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children assigned to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retained in grade, and increase the likelihood of their completing high school and pursuing vocational or academic training. Young adults who attended a high-quality preschool program are also more likely to be self-supporting and employed, and are less likely to be in trouble with the low and to become teen parents than are similar young adults who did not attend preschool. Well-conceived programs for the poor can help families to cope and to become more independent and economically secure. Head Start can be proud of many successes, however, yet still needs to address existing quality problems, transition to public school and to be refocused to meet the challenges of a new age. Seeing the ecological approach as a series of concentric circle with the child at the center helps as envision all of the influence that affect a child's development. Confirming Head Start's original design-to link the program and the family in new ways, and to improve, 109 simultaneously, education, health, and social services, the ecological view offer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what Head Start needs today.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A Background
Ⅲ. Effects of Project Head Start
Ⅳ. The High/Scope Perry Preschool Study
Ⅴ. Conclusions
Reference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경(MiKyung Kim). (2003).The Longitudinal effects of Project Head Start in the united states. 비교교육연구, 13 (2), 109-122

MLA

김미경(MiKyung Kim).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roject Head Start in the united states." 비교교육연구, 13.2(2003): 109-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