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직업교사의 양성 및 배치 현황과 방향

이용수  206

영문명
Status and Directions of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and Placement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박희찬(Park Hee-Cha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39권 제2호, 275~29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9.01
3,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육 분야에서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의 양성 및 배치 현황을 검토하고 방향을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주로 관련 법, 논문, 저서, 통계자료 등을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였다. 연구의 결과 직업교사의 양성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이 제시되었고, 직업교사 양성방향으로 기본교육과정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라 구분하여 직업교사가 양성되어야 함이 제안되었다. 또한 현재 특수교육진흥법이나 시행령 또는 시행규칙에 직업교사 배치에 관한 기준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현재 자격 있는 직업교사의 배치 수가 매우 적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기본교육과정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라 양성된 자격 있는 직업교사를 배치하기 위한 방향이 제시되었고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 과제가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to suggest future policy directions on the training and placement of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viewing the literature such as laws, articles, books, and statistics was the major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qualified when a certified special education teacher get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vocational training teacher certificate, master degre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Also a certified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trained through the undergraduate teacher training program major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A few issues related to the qualification and training of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 were listed. As a recommendation,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trained in two different ways:Teachers for vocational education in Basic Curriculum and teachers for vocational education in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Second, there is no criteria how to place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and its Presidential Decree or Enforcement Decree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Very limited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placed into the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at the secondary level until the year of 2003. Recommendations on how the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be placed in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and further research topics were followed.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Ⅱ. 직업교사 양성 현황과 방향
Ⅲ. 직업교사 배치 현황과 방향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희찬(Park Hee-Chan). (2004).특수교육 직업교사의 양성 및 배치 현황과 방향. 특수교육학연구, 39 (2), 275-296

MLA

박희찬(Park Hee-Chan). "특수교육 직업교사의 양성 및 배치 현황과 방향." 특수교육학연구, 39.2(2004): 275-2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