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repancy Between Scholarly Definition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pecial Educators’ Diagnostic Practices on LD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옥(Youn Ock Kim) 봉원용(Won Yong Bo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9권 제2호, 85~1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9.01
2,9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학습장애에 대한 정의, 진단.평가의 실제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을 택하였으며,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에 배포하여, 그 중에서 회신이 온 123부를 기초로 하여 질적, 양적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반학급의 학생 중에서 학습장애 학생으로 진단 받을 가능성과 특수학급에 입급된 학습장애 학생이 부적절하게 판별된 가능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판별의 모호성이 학습장애 학생을 발굴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은 전문적인 학습장애 정의를 사용하지 않으며, 학습장애 학생을 진단평가 할 때 대체적으로 전문적인 도구사용과 절차를 밟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screpancy between definition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pecial educators' practices. To this end we analyzed general considerations, intentions about reaching out, definition, assessment methods and procedures to assess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ich were utilized by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n a province.
The survey were distributed to 292 special educators who worked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Gyenggi province which is the biggest one in Korea and 123 educators replied to it both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anners. The following were the summary of the findings. First, there was a possibility not to reach out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 possibility of false positive was appeared by finding students who were misplaced in special class as having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the intention of special teachers to reach ou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siderably low. The reason seemed due to the difficulties and ambiguity of the definition. Third, they did not practice professional definitions of learning disabilities. They were not following professional assessments and procedures when diagnos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색자극 단서 조건에 따른 철자문제 수반한 ADHD 아동과 일반아동의 철자기억과제 수행 비교 연구
- 한국의 통합교육정책 분석
-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의 가족지원 실태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농학생의 이중언어 능통을 위한 이중언어 교육 성공 조건 탐색
- 장애아동과의 통합여부에 따른 일반아동의 놀이규칙 수정 정도와 형태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상황이야기 개발' 연구
- 시각 손상 아동을 위한 기능적 시각 평가 도구 개발
- 유아학급과 유아특수학급의 교실 내 물리적 환경 실태 및 교사간 인식비교
- 수학 학습부진 아동의 문장제 문제해결과정에 관한 연구
- 현실적 수학교육이 학습장애학생의 수학교육에 주는 함의
- 특수교육 직업교사의 양성 및 배치 현황과 방향
- 학습장애의 학문적 정의와 초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학습장애 진단 실제 간의 괴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