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developing social story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action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rma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현옥(Park Hyun-Ok) 김은주(Kim Eun Ju) 유숙렬(Ryu Sook ryul)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9권 제2호, 171~19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9.01
3,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폐아동을 비롯한 장애아동들이 일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히 기능하는 것을 지원하고, 통합된 상황 속에서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상황이야기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아동들이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기초 자료 수집 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상황이야기는 제 3부로 구성되었다. 제 1부는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에 관련한 내용으로 ‘교실에서는 이렇게 생활 합니다’와 ‘교실 외에서는 이렇게 생활 합니다’의 두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모두 62개의 이야기를 포함하였으며, 제 2부는 친사회적 행동에 관련한 내용들로 하위 영역은 ‘친구들과는 이렇게 지내요’와 ‘언제나 즐겁게 지내요’의 두개 영역에 모두 53개의 이야기가 개발되었다. 제 3부는 문제 행동에 관련된 내용들로 ‘교실에서는 이런 행동을 하지 않아요’와 ‘교실 밖에서는 이런 행동을 하지 않아요’의 두개 하위 영역에 모두 32개의 이야기 자료들을 개발하였다. 본 고에서는 개발된 이야기와 더불어 상황이야기의 개발과정과 사용방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통합된 일반학급 상황 속에서 필요한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하고 문제 행동의 감소를 위하여 적절히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한 논의와 제언을 통하여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social stories that be us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do functions properly in various social situations and promote desirable social behaviors. Social stories are often written to help an individuals adjust to changes(i. e. in routines), to provide insight about what others are thinking or feeling, or to teach specific social skills as alternatives to problem behaviors. So, social stories have been used as a positive support intervention to foster appropriate social skills and pro-social behavior, while reduce and prevent
some of the problem behavio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social story is a short story that keeps to a specific format and guidelines to objectively describe a person, skill, event, concept, or social situation. Usually social stories are written by parents, professionals or teacher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ocial stories, we followed Gray’s guidelines:(a)determining a topic; (b)gather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ituation. For these (a) and (b) steps, various inform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and normal peers in inclusive settings. (c)Based on these practical data, we developed three parts of social stories. Part 1 includes 62 stories about positive social behaviors. Part 2 contains 53 stories about pro-social behaviors. Part 3 comprise 32 social stories about problem behavior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our social stories, which is helpfu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normal peers,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to apply these social stories in their practical use. Also, we considered the type of sentence:descriptive, perspective, directive and control sentences, and children’s interests and practical and functional use. Finally, we discu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our further research.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상황이야기'의 구성 및 사용방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색자극 단서 조건에 따른 철자문제 수반한 ADHD 아동과 일반아동의 철자기억과제 수행 비교 연구
- 한국의 통합교육정책 분석
-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의 가족지원 실태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농학생의 이중언어 능통을 위한 이중언어 교육 성공 조건 탐색
- 장애아동과의 통합여부에 따른 일반아동의 놀이규칙 수정 정도와 형태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상황이야기 개발' 연구
- 시각 손상 아동을 위한 기능적 시각 평가 도구 개발
- 유아학급과 유아특수학급의 교실 내 물리적 환경 실태 및 교사간 인식비교
- 수학 학습부진 아동의 문장제 문제해결과정에 관한 연구
- 현실적 수학교육이 학습장애학생의 수학교육에 주는 함의
- 특수교육 직업교사의 양성 및 배치 현황과 방향
- 학습장애의 학문적 정의와 초등학교 특수교사들의 학습장애 진단 실제 간의 괴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