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구·경북지역 퇴직자의 평생교육자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0
- 영문명
- A Study on Using the Retired as Volunteer to Lifelong Education in Taegu-Kyungbook Area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남선(Nam Sun Kim) 김희중(Hee Jung Kim)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9권 제3호, 275~29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에 있는 퇴직자가 평생교육봉사활동에 참여하는데 관련된 변수를 조사분석하여 본 지역의 퇴직자의 평생교육봉사자로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퇴직자의 과거 경험을 활용하여 평생교육 교·강사로서의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데 중심을 두었다.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통해서 퇴직자가 평생교육활동에 참여하는데 관련된 변수를 개인변수, 조직변수, 사회규범변수로 분류하여 각각의 중요도에 대해 조사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anking of the variables relating that the retired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s volunteer,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the retired attend at the voluntary activities more positively.
This study i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 more significantly.
The variables related to voluntary activities from reviewing literatures ar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vironment.
The ranking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presentation needs, motivation for
service, philantropism, needs of social relation, and etc.
The ranking of organizational norms is as follows; the clearness of organizational goals, consensus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whom receiving the voluntary by the retired, staffs' ability of voluntary organization and etc.
The ranking of social norms related to the retired' voluntary activities is as follows; the retired's necessary feeling to voluntary activities, social system appreciating the retired' voluntary service, the social situation to the retired' participating together in the voluntary service. the retired' positive feeling that their voluntary service's contributing to community development and etc.
The retired can participate in youth education, woman education and education for the old as lecturer in lifelong education center.
목차
요약
1. 서론
2. 퇴직의 개념
3. 퇴직자 자원봉사 관련변수
4. 대구·경북지역 퇴직인구와 평생교육기관 현황
5. 퇴직자의 평생교육봉사대상과 관련변수분석
6. 퇴직자를 활용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7. 결론
참고문헌
Abstra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문제 및 발전방안 - 구리시·남양주시를 중심으로 -
- 여성의 생애단계별 평생직업교육의 실태분석
- 평생학습체제의 마련과 호주의 직업교육 개혁 동향
- 융(Jung, C. G.)의 이론에 기초한 평생교육의 심리학적 연구
- 성인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역할 모델 탐색
- 근로의욕이 학습동기와 평생직업교육훈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성인 평생교육기제로서 군 교육훈련의 의의와 발전 방향
- 대구·경북지역 퇴직자의 평생교육자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市場인가 公的 領域인가: 참여정부의 평생교육정책의 핵심 논제
- 지식기반사회에서 전문대학의 성인평생학습제도로서의 발전 과제와 전망
-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 생애단계에 따른 평생교육 체제 모델 탐색
-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