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이용수 850
- 영문명
- Meaning of Adult Literacy in the Learning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혜(Lee Jihye)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9권 제3호, 57~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해’란 하나의 진화하는 개념으로서, 역사적 사회적으로 그 의미와 가치 그리고 평가규준이 달라지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문해조사연구를 개관하고 문해 연구에서 문해의 의미와 접근방식을 규명하고, 그 안에서 담았던 문해의 의미를 문해연구의 이론적 논거 속에서 살피어, 새롭게 정의될 문해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문해조사연구에 나타난 문해의 개념과 접근방식을 분석 결과, 두 가지 특정이 드러난다. 하나는 문해의 가치 중심 접근에 있어서 ‘적응’의 가치를 중시하는 기능문해 접근 중심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측정에 있어서는 학년을 기준으로는 삼는 ‘학교모형’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문해의 가치지향 측면에서는 경제적 가치에 대한 강조가, 문해의 측정모형에서는 구성주의적 평가모형이 새로운 변화추세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문해의 의미와 평가에 대한 접근 방식에 있어서 보다 다의적이고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접근이 요청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문해’의 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문해의 궁극목적이 학습능력의 성장에 의한 학습권의 실현이라는 기본을 더욱 명백히 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dult Literacy is an evolving concept that has neither a static nor a universal essence. Its meaning and assessment model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context. It is a "many-meaninged thing". Although some survey researches on adult literacy condition has performed, there is no analyse on the concept and approach of the adult literacy in the reports.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the concept and criteria of the surveys on adult literacy. As a result, it reveals two characteristics; one is the 'functional literacy' as a value orientation of the literacy and the other is 'student assessment model' as measuring approach. Much of the concern about literacy, both now and in the past, stems from what people have assumed its consequences to be. We can isolate three types of consequences: cognitive, economic, and social. consequences depends on its social context. And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model, constructivist and social an cultural views of learning is worthy of notice.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the evlotion of literacy is accelerated. In the context, the essential meaning to be literate is to a lifelong learner with learning how to learn. Learning society comes when everyone tries to be literate and to be a lifelong learner.
목차
요약
1. 들어가며
2. 문해 조사연구에서의 '문해'의 의미
3. 문해의 가치에 따른 접근유형
4. 문해의 규준: 학교모형과 구성주의 모형
5. 학습사회에서 문해의 새로운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문제 및 발전방안 - 구리시·남양주시를 중심으로 -
- 여성의 생애단계별 평생직업교육의 실태분석
- 평생학습체제의 마련과 호주의 직업교육 개혁 동향
- 융(Jung, C. G.)의 이론에 기초한 평생교육의 심리학적 연구
- 성인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역할 모델 탐색
- 근로의욕이 학습동기와 평생직업교육훈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성인 평생교육기제로서 군 교육훈련의 의의와 발전 방향
- 대구·경북지역 퇴직자의 평생교육자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市場인가 公的 領域인가: 참여정부의 평생교육정책의 핵심 논제
- 지식기반사회에서 전문대학의 성인평생학습제도로서의 발전 과제와 전망
-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 생애단계에 따른 평생교육 체제 모델 탐색
-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