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평생교육기제로서 군 교육훈련의 의의와 발전 방향
이용수 329
- 영문명
-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as an Effective Adult Lifelong Education Mechanism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용주(Kim Yongchu)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9권 제3호, 101~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평시에 군은 막대한 인적, 물적 자원을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생산적으로 활용하는데 앞장서는 사회봉사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군의 확대된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노력은 군 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군 교육훈련에 대한 관심은 민·군 관계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총체적 국방력의 증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 건전한 시민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군의 사회적 역할 확대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고양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필자는 이 글에서 군 교육훈련의 성격과 실제, 의의 및 한계 등을 논의한 후, 이를 토대로 유용한 성인 평생교육 기제로서 사병대상 교육훈련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meaning of military in a nation has expanded toward emphasizing its social service function in addition to its innate function, i. e. prevention of the nation's security. That of Korean military is not an exception.
Thus it may need to be noted that various effort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is expanded function should be linked with th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MET). It is because that the relev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MET on the drafted soldiers who are grown in the information society, would influence the military's martial and social functions in this country.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characteristic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T, analyzed SWOT(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and proposed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ET as an effective adult life-long education mechanism in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First, every armed force(Army, Navy, and Air Force) should develop a standard MET program respectably which covers full period of soldier's compulsory service period. This kind of MET system would enhance its compatibility with the public sector'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Second, completion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which enhancement of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and responsibility as a mature member of society would be included, should be the second goal of th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MET), followed by the goal of national defense. Third, concerning the increasing drafted soldier's education lev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 called, "N generation" soldier, there should be made various efforts to increase the education portion in the total MET program Also th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diversed to meet the soldier's needs. Fourth, various efforts on the methodology of MET programs, i. e. introduction of E-Iearning method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interests and positive perceptions on the MET of the possible enlisted soldiers, called as "cyber generation."
목차
요약
1. 서론
2. 군 교육훈련의 성격 및 실제
3. 군 교육훈련의 의의와 SWOT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문제 및 발전방안 - 구리시·남양주시를 중심으로 -
- 여성의 생애단계별 평생직업교육의 실태분석
- 평생학습체제의 마련과 호주의 직업교육 개혁 동향
- 융(Jung, C. G.)의 이론에 기초한 평생교육의 심리학적 연구
- 성인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역할 모델 탐색
- 근로의욕이 학습동기와 평생직업교육훈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성인 평생교육기제로서 군 교육훈련의 의의와 발전 방향
- 대구·경북지역 퇴직자의 평생교육자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市場인가 公的 領域인가: 참여정부의 평생교육정책의 핵심 논제
- 지식기반사회에서 전문대학의 성인평생학습제도로서의 발전 과제와 전망
-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 생애단계에 따른 평생교육 체제 모델 탐색
-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