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문제 및 발전방안 - 구리시·남양주시를 중심으로 -

이용수  1,716

영문명
Problems and Tasks of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Cases of Guri-Si and Namyangju-Si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양은아(Eun-Ah Yang) 김재웅(Jae-Woong Kim)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9권 제3호, 151~17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습자들이 평생교육을 체험하는 지역사회는 평생교육과 관련하여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여 연구는 동일 생활권역인 남양주시와 구리시에 존재하는 평생교육시설 가운데 대표적인 네개 평생교육 기관을 선정하여 지역 평생교육의 문제를 확인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시설은 LG 백화점 문화센터, 남양주시 종합복지회관, 구리 사회복지관, 그리고 구리·남양주시 주민자치센터이다. 개별 기관 수준의 문제점으로는 주 교육대상과 프로그램이 중복, 제공되고 있다는 점과 사회변화에 따른 전문영역의 강좌가 부족하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기관 운영 차원에서는 전문직원의 부족, 평생교육기관간 네트워크, 부족지역사회 중점기구의 미약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지역사회 평생 교육의 발전방안으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특성화와 다양화 추구,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평생학습의 질 관리와 교육 담당자(평생교육사)전문성 신장, 그리고 지역 중심기구로서의 지역 평생학습관의 역할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평생교육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은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problems in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and to propose some tasks to solve them. Guri-Si and Namyangju-Si, neighbour citi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Four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were investigated, namely, Culture Center attached to LG Department Store, Namyangju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Guri Social Welfare Center, and Resident Self-Governing Cent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es were providing similar educational programs to similar target groups. Secondly, the programs tended to focus on the general education and hobby life. Thirdly, the institutes did not employ enough professionalized personnels. Finally, there was no systematic co-ordination among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in the area.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tasks were proposed. First,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should establish the networking system Secondly, each institute needs to have a specialized area of programs. Thirdly, the center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i.e., Goo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playa more important role for the co-ordination among the institutes in the area. Finally, more people possessing the certificate of lifelong education personnel should be employed in order to upgrad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목차

요약
1. 서론
2. 지역 평생교육체제의 의의
3.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운영실태 및 문제점: 구리시·남양주시를 중심으로
4.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발전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아(Eun-Ah Yang),김재웅(Jae-Woong Kim). (2003).지역사회 평생교육의 문제 및 발전방안 - 구리시·남양주시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학연구, 9 (3), 151-172

MLA

양은아(Eun-Ah Yang),김재웅(Jae-Woong Kim).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문제 및 발전방안 - 구리시·남양주시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학연구, 9.3(2003): 151-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