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장년층 업스킬링 및 리스킬링 정책의 효과성 비교 연구: OECD 국가 패널 데이터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iddle-aged and Older Workers' Upskilling and Reskilling Policies: Panel Data Analysis of OECD Countrie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김진실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7권 제3호, 31~5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OECD 다국가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중장년층(45–64세) 대상 업스킬링 및 리스킬링 정책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정책은 통합형·직업훈련중심형·시장중심형으로 분류하고, 노동시장 성과는 재취업률, 임금, 고용 안정성, 상향 직업이동성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국가–연도–연령대–성별을 기준으로 통합하였으며, 임금은 PPP 기준 실질화, 직업·산업·학력은 ISCO/ISIC/ISCED로 표준화하였다. 분석은 이중차분법(DID)을 주모형으로 하여 국가·연도·연령대·성별의 불변 특성(고정효과)을 통제하고 군집표준오차를 사용하였으며, 사건연구(event study) 설계로 평행추세와 동태효과를 점검하였다. 선택편향 보정을 위해 성향점수매칭.(PSM) 및 역확률가중치(IPW)를 보조로 적용하고, 연령×성별 사후층화 가중치 및 표본·관측구간·표준오차 변경을 포함한 민감도 분석으로 강건성을 검증하였다. 다수준 모형은 인과추정이 아닌 분산구조 및 맥락조절의 설명용으로 제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형은 재취업과 임금에서 가장 큰 정(+)의 효과를 보였고, 직업훈련중심형은 고용 안정성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며, 시장중심형의 평균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둘째, 노동시장 유연성·디지털화 수준·산업구조 등 국가 맥락이 효과를 유의하게 조절하였고, 유연성이 높을수록 재취업 및 상향 직업이동성이 확대되는 반면 일부 지표에서 안정성은 다소 낮아지는 트레이드 오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서 통합형 패키지의 제도화와 대상 세분화·모듈형 설계, 산업계 연계 강화, 소득보전과 상담·매칭의 결합, 데이터 기반 상시평가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iveness of upskilling and reskilling policies for older workers (aged 45–64) across OECD countries using multi-country panel data. Policies are classified as integrated, training-centered, and market-oriented, and labor-market outcomes are measured as reemployment, wages, employment stability, and upward occupational mobility. The dataset is harmonized at the country–year–age group–sex level; wages are expressed in PPP-deflated real terms, and occupations/industries/education are standardized to ISCO/ISIC/ISCED. The main specification employs difference-in-differences (DID), controlling for fixed effects for country, year, age group, and sex with cluster-robust standard errors, and uses an event-study design to assess parallel trends and dynamic effects. To address selection, we apply PSM-DID and IPW-DID as complementary estimators and use post-stratification weights by age×sex; robustness is examined through sensitivity analyses varying samples, observation windows, and standard-error clustering. Multilevel models are used descriptively (for variance structure and context moderation), not for causal identific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ed packages yield the largest positive effects on reemployment and wages; training-centered designs perform relatively better on employment stability; market-oriented policies show limited average effects. Second, labor-market flexibility, the degree of digitalization, and industrial structure significantly moderate impacts; greater flexibility expands reemployment and upward occupational mobility but is associated with modest short-run reductions in some stability indicators, indicating a trade-off. These results imply, for Korea, the need to institutionalize integrated packages, implement target segmentation with modular design, strengthen industry linkages, combine income support with counseling & matching, and build a data-driven continuous evaluation system.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의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실. (2025).중장년층 업스킬링 및 리스킬링 정책의 효과성 비교 연구: OECD 국가 패널 데이터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7 (3), 31-56

MLA

김진실. "중장년층 업스킬링 및 리스킬링 정책의 효과성 비교 연구: OECD 국가 패널 데이터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7.3(2025): 3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