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Occupational Therapy-Centered Role Performance among Community Members
이용수 22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정승희 김성원 엄윤정 정민예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3권 제3호, 103~1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role performance among community members using bibliometric analysi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eb of Science database and included 553 studies published up to December 16, 2024. VOSviewer was used to visualize key trends such as publication volume, contributing countries, research fields, and keyword patterns.
Results: The number of publications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9, with notable growth after 2020. The predominant research areas included rehabilitation (n = 298),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n = 56), and health sciences (n = 34). The United States was the leading contributor. Early research emphasized disease-related terms, whereas recent studies have shifted toward occupational balanc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ocial inclusion.
Conclusion: This analysis highlights the evolving focus of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on community-based role performance. Since the COVID-19 pandemic, grow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mental health and the role of community engagement in supporting well-being.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ailored, interdisciplinary interventions that address the needs of local communities.
영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역할수행에 대한 문헌들을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외 데이터베이스(Web of Science)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구성원의 역할수행 작업치료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2024년 12월 16일까지 출판된 문헌 중 최종 선정된 문헌은 553편이었다. Vos viewer를 사용하여 결과를 시각화 하였으며,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국가, 연구분야, 키워드 등을 파악하였다.
결과 : 1996년부터 2024년까지 총 553편의 문헌이 분석되었으며, 연구 출판 수는 2009년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재활(298편), 공공환경 및 직업건강(56편), 보건과학(34편)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분석에서는 미국이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며, 키워드 동시출현 분석 결과, 2018년 이전에는 질병 중심 키워드가 주로 나타났으나, 2020년 이후 작업균형, 지역사회 참여, 사회적 포용 등으로 주제가 확장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의 역할수행과 작업치료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신건강과 지역사회 참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사회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향후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다학문적 접근을 통해 근거 기반의 연구가 요구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 아카이브를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인지 저하 노인의 심리정서 및 주관적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기억통제감의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현병과 연하장애에 관한 연구: 주제 범위 문헌고찰
-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상호 신경 동기화(INS)의 통합적 이해: fNIRS 기반 하이퍼스캐닝 연구의 체계적 고찰
-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현황 및 인식도 조사연구Ⅰ: 전공선택 계기와 진로선택 현황을 중심으로
- 한국판 작업 선택 의사결정 지원(K-ADOC) 평가도구의 지면버전 개발 연구
-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재활 효과를 중심으로
- ADHD 아동과 보편적 발달 아동의 작업기억과 집행기능이 일상생활의 조절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차이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훈련용 “기억하리” 모바일 앱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
- A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Occupational Therapy-Centered Role Performance among Community Member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