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 아카이브를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인지 저하 노인의 심리정서 및 주관적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기억통제감의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2

영문명
The Effects of a Reminiscence Program Using Media Archiv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Memory i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Decline: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on Memory Controllability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서혜진 김지혜 강수라 양효걸 염규현 김여명 강혜민 박은지 박혜연 주유미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3권 제3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및 인지 저하 노인을 대상으로 방송 미디어 아카이브 기반 회상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기억 통제감, 삶의 질, 우울감,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효과를 탐색하며, 특히 기억 통제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매개효과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은평구 내 주야간보호센터에 등록된 인지 저하 노인 중 회상 프로그램에 등록한 43명으로 선정하였다. 중재는 미디어 아카이브를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2주간 주 1회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효과검증을 위해 기억 통제감, 우울(SGDS), 삶의 질(EQ-5D), 주관적 건강 상태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사전 및 사후 평가를 모두 완료한 30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paired t-검정을 통해 중재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회상 프로그램이 기억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 변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Jamovi 2.6.21과 AMOS 30을 사용하였다. 결과 : 인지 저하 노인을 대상으로 한 회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억 통제감(p < 0.05)과 우울감(p <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반면, 삶의 질과 주관적 건강 상태에 있어서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로 수행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우울감의 변화가 기억 통제감 향상에 유의한 간접 영향을 미치는 완전 매개효과(p =0.03)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방송 미디어를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인지 저하 노인의 심리⋅정서적 안정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기억 통제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임상에서 심리⋅정서적 안정을 고려하여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a reminiscence program, using broadcast media archives, o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or cognitive decline. It focused on changes in memory controllability,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self-rated health and examined whether depression mediates changes in memory controllability. Methods: Forty-three older adults enrolled in adult daycare centers in Eunpyeong-gu participated in a 10-session, 12-week reminiscence program. Data from 30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were analyzed. Measures included memory controllability,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self-rated health.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Quality of life was determined using the EQ-5D. Paired t-tests were used to analyze pre-post changes, and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Jamovi 2.6.21and AMOS 30. Results: Th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memory controllability and reduced symptoms of depression (both p < 0.05).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quality of life or self-rated health.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memory controllability (p = 0.03). Conclusion: Media archive-based reminiscence programs may help improve emotional well-being and perceived memory control in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supporting their use a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clinical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혜진,김지혜,강수라,양효걸,염규현,김여명,강혜민,박은지,박혜연,주유미. (2025).미디어 아카이브를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인지 저하 노인의 심리정서 및 주관적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기억통제감의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3 (3), 1-14

MLA

서혜진,김지혜,강수라,양효걸,염규현,김여명,강혜민,박은지,박혜연,주유미. "미디어 아카이브를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인지 저하 노인의 심리정서 및 주관적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기억통제감의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3.3(2025):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