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상호 신경 동기화(INS)의 통합적 이해: fNIRS 기반 하이퍼스캐닝 연구의 체계적 고찰

이용수  20

영문명
Integrated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Neural Synchronization in Social Interaction: A Systematic Review of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Based Hyperscanning Studies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인세연 박지혁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3권 제3호, 35~5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기반 하이퍼스캐닝 기술을 활용하여 측정된 상호 신경 동기화(Interpersonal Neural Synchronization; INS)가 사회적 상호작용의 신경생리학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INS가 사회적 상호작용기술 의 임상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2025년 1월까지의 기간동안 Embase, EBSCO,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에 검색어 “fNIRS”, “hyperscanning”, “interpersonal neural synchronization”, “interpersonal brain synchronization”, “brain-to-brain coupling”, “interactive brain activity”를 사용하여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49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결과 : 선정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HbO 신호를 기반으로 WTC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뚤림 위험 평가에서는 노출 측정 등 항목에서 낮은 비뚤림 위험이 지배적이었으나, 대상자군 비교 가능성과 교란변수통제 항목에서는 높은 비뚤림 위험이 다수 확인되었다. INS 반응은 과제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협력, 감정 교류, 경쟁적 상호작용 조건에서 DLPFC, rTPJ, mPFC 등에서의 INS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INS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신경 지표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사회적 뇌를 이해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인간의 사회적 인지 과정을 정량화하고 해석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며, 이는 향후 상호작용 중심의 신경과학 연구뿐 아니라, 작업치료 임상현장에서의 중재 평가 및 설계에 있어 INS의 실용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 Systematically review studies in which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based hyperscanning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interpersonal neural synchronization (INS) can serve as a neurophysiological marker of social interaction. In addition, the potential for applying INS as a clinical tool for social interaction skills will be explored.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across Embase, EBSCO, PubMed, Scopus,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for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20 and January 2025. Search terms included “fNIRS”, “hyperscanning”, “interpersonal neural synchronization”, “interpersonal brain synchronization”, “brain-to-brain coupling”, and “interactive brain activity. Results: A total of 49 studies were included. Most used oxygenated-hemoglobin-based fNIRS analyses with wavelet transform coherence methods. Although the overall risk of bias was low, concerns persisted regarding group comparability and confounder control. INS responses varied by task type, with increased synchronization in brain regions, such as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the right temporoparietal junction, and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during cooperative, affective, and competitive interaction tasks. Conclusion: This review demonstrates that INS is a reliable neural marker of social interaction and offers insights into the functioning of the social brai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INS to quantify and interpret social cognitive processes, suggesting its future utility not only in neuroscience studies but also as a practical tool in occupational therap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인세연,박지혁. (2025).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상호 신경 동기화(INS)의 통합적 이해: fNIRS 기반 하이퍼스캐닝 연구의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3 (3), 35-50

MLA

인세연,박지혁.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상호 신경 동기화(INS)의 통합적 이해: fNIRS 기반 하이퍼스캐닝 연구의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3.3(2025): 35-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