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재활 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34

영문명
Factors Affecting Injured Workers' Return to Work: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노동희 조은주 감경윤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3권 제3호, 83~10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직업재활 실시 여부에 따라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산재 요양을 종결한 3,294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산재보험패널조사(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3차 산재보험패널조사에 모두 참여한 산재근로자 중 요양기간이 1년 초과인 자와 장해등급 1~3급 및 무장해를 제외한 1,8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는 ICF를 기반으로 개인적 요인, 기능 수행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종속변수인 직업복귀에 대한 직업재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직업재활을 실시한 그룹은 개인적 요인에서 직업복귀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보고된 여성, 미혼, 고령의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기능수행 요인에서는 긍정적인 요인인 업무수행능력의 영향력은 증가하였고 부정적인 요인인 높은 장해등급, 잦은 통증 빈도, 낮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환경적 요인에서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보고된 긴 요양기간, 짧은 근무기간, 원활하지 않은 사업주와의 관계,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직업재활을 실시한 그룹이 미실시한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업복귀의 부정적인 요인들의 영향력은 감소하고 긍정적인 요인들의 영향력은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산재근로자의 개인적 요인, 기능 수행 요인, 환경적 요인에서의 영향력의 차이를 통해 직업재활의 효과성을 확인하였고 산재근로자의 개인 특성에 따른 적절한 직업재활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the injured workers' return to work and determine the difference in influence depending on whether vocational rehabilitation was provided. Methods: This study used three years of data collected from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mong the 3,294 injured workers who completed medical treatment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17, 1,816 were included after excluding those with more than one year of medical care, severe disabilities (grades 1-3), or no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grouped into personal,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framework.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n returning to work. Results: Vocational rehabilitation reduced the negative impact of factors such as female sex, single status, older age, high disability grade, frequent pain, low self-efficacy, long medical treatment period, short working period, poor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and small company size, while increasing the influence of positive factors such as improved work capacit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negative factors decreased and that of positive factors increased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group.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as confirmed by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personal,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동희,조은주,감경윤. (2025).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재활 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3 (3), 83-101

MLA

노동희,조은주,감경윤.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재활 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3.3(2025): 83-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