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작업 선택 의사결정 지원(K-ADOC) 평가도구의 지면버전 개발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Development Study of the Paper-Based Korean Aid for Decision-Making in Occupation Choice (K-ADOC)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강보라 강미연 장기연 토모리 코노스케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3권 제3호, 65~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K-ADOC(Korean-Aid for Decision-making in Occupation Choice)의 국내 임상 현장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앱 기반 접근성과 제약을 보완한 지면버전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기존 K-ADOC의 8개 대분류, 100개 소항목을 바탕으로, 임상 경력 5년 이상의 작업치료 전문가 15인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 항목의 내용타당도(CVR), 수렴도, 합의도, 중요도를 평가하여 항목의 수정, 삭제 및 통합 과정을 거쳐 최종본을 완성하였다.
결과 : 델파이 조사 결과, 자가간호(self-care)와 이동(getting around) 항목을 통합한 ‘상지를 사용한 활동 (activities using the upper limbs)’(11항목), ‘가정생활(domestic life)’(11항목), ‘일과 사회활동(work/social activity)’(11항목), ‘취미 및 신체활동(hobby/physical activity)’(23항목)으로 구성된 총 4개 대분류, 56개 소항목의 K-ADOC 지면 버전이 도출되었다.
결론 : K-ADOC 지면버전은 기존의 디지털 기반 도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임상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와 전문가가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평가도구로서 작업치료의 클라이언트 중심 접근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aper-based version of the Korean Aid for Decision-Making in Occupation Choice (K-ADOC), originally designed to reflect Korea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The goal was to enhance the clinical usability of the iPad-based tool by addressing its limitations.
Methods: Based on the original K-ADOC, which consists of 8 major domains and 100 sub-items, a two-round Delphi study was conducted with 15 occupational therapy experts who had more than fiv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The content validity ratio, convergence, consensus, and importance of each item were evaluated. The final version of the tool was developed through item revision, deletion, and integration.
Results: Through the Delphi process, a simplified paper-based version of the K-ADOC was developed, consisting of 4 major domains and 56 sub-items: “Activities Using the Upper Limbs” (11 items), which integrates self-care and getting around; “Domestic Life” (11 items); “Work and Social Activities” (11 items); and “Hobbies and Physical Activities” (23 items). The final structure reflected the clinical need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text.
Conclusion: The paper-based K-ADOC improves accessibility and practicality in clinical settings and is expected to support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more effective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 아카이브를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인지 저하 노인의 심리정서 및 주관적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기억통제감의 우울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현병과 연하장애에 관한 연구: 주제 범위 문헌고찰
-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상호 신경 동기화(INS)의 통합적 이해: fNIRS 기반 하이퍼스캐닝 연구의 체계적 고찰
-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현황 및 인식도 조사연구Ⅰ: 전공선택 계기와 진로선택 현황을 중심으로
- 한국판 작업 선택 의사결정 지원(K-ADOC) 평가도구의 지면버전 개발 연구
-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재활 효과를 중심으로
- ADHD 아동과 보편적 발달 아동의 작업기억과 집행기능이 일상생활의 조절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차이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훈련용 “기억하리” 모바일 앱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
- A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Occupational Therapy-Centered Role Performance among Community Member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