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동주시대 도성의 성곽 구조와 변화 동인
이용수 24
- 영문명
- The City Wall Structure and the Drivers of Change in the Capital Cities of China’s Eastern Zhou Period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저자명
- 김봉근
- 간행물 정보
- 『한국고고학보』제136집, 755~78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중국 동주시대(東周時代) 도성(都城)의 성곽(城郭) 구조와 그 변화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당시 도성 계획의 전환적 국면을 검토한 논문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문헌 기록을 통해 ‘성(城)’과 ‘곽(郭)’에 대해 정의하고, 양자의 개념적·구조적 차이를 구분하였다. 이어 고고학 자료를 토대로 동주시대 성곽의 구조를 통해 ‘무성무곽(無城無郭)’과 ‘유성무곽(有城無郭)’, ‘유성유곽(有城有郭)’ 등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동주시대 도성의 성곽은 서주시대(西周時代)의 전형적 구조인 ‘내성외곽(內城外郭)’ 체계를 계승하면서도,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이르러 각 제후국의 제도와 정치적 상황에 따라 ‘성곽병립(城郭竝立)’, ‘성곽분리(城郭分離)’ 등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위계적 공간구조의 재편, 권위의 안정화, 도성 방어의 전략적 변화와 밀접히 관련된다. 동주시대는 주대(周代)의 종법적(宗法的) 위계질서가 해체되고 제후국 간 군사적 갈등이 심화된 시기로, 도성의 통치 및 방어 전략에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각 제후국은 기존 내성외곽의 구조에서 벗어나 성곽을 병립 또는 분리하는 등 새로운 구조를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동주시대 도성 성곽 구조의 발전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고대 도시 구조의 역사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동시에 한국 고대 도성과의 비교사적 연구에도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itional phase in ancient Chinese urban planning by analyz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city wall systems of capital cities during the Eastern Zhou Period (東周時代). Firstly, this study defines the terms “inner city wall” (城) and “outer enclosure” (郭) based on historical texts, distinguishing their conceptual and structural differences. Subsequently, the structural typologies of city walls in the Eastern Zhou Period are classified through archaeological cases into three categories: “no city wall or enclosure” (無城無郭), “city wall without enclosure” (有城無郭), and “city wall with enclosure” (有城有郭). Additionally, the research confirms that while Eastern Zhou city wall structures inherited the typical Western Zhou Period (西周時代) inner-city and outer-enclosure system (內城外郭), by the Warring States Period (戰國時代), diverse forms such as “parallel city walls and enclosures” (城郭竝立) and “separated city walls and enclosures” (城郭分離) emerg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of various states. These structural transformations were closely linked to the reorganization of hierarchical spatial structures, stabilization of political authority, and strategic shifts in capital defense. The Eastern Zhou era was characterized by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Zhou clan-based hierarchical order (宗法的), alongside intensifying military conflicts among feudal states, demanding fundamental changes in urban governance and defense strategies. Consequently, feudal states transitioned from the traditional inner-city and outer-enclosure model toward more varied forms like parallel or separated city wall systems. By analyzing the evolution of city wall structures in the Eastern Zhou capital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s of ancient Chinese urban structures and also provides significant comparative data for studies on ancient Korean capital cities.
목차
Ⅰ. 머리말
Ⅱ. 성곽의 정의와 구분
Ⅲ. 동주시대 도성의 성곽 구조
Ⅳ. 동주시대 도성의 성곽 구조 변화 동인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