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요서지역 小河沿文化 편년 및 지역 관계

이용수  15

영문명
Revisiting the Chronology and Regional Interactions of the Xiaoheyan Culture (小河沿文化) in Liaoxi, Chin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문예린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36집, 725~75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 동북지역 신석기문화의 전개 과정에서 그간 미싱 링크(missing link)로 간주되었던 샤오허옌문화(小河沿文化)에 주목하여 편년을 재검토하고, 주변 문화와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샤오허옌문화의 범위는 논란이 되는 옌산(燕山) 이남과 이북 지역의 물질문화를 비교해 설정하였다. 토기의 주요 기종·형태·문양과 무덤의 세부 구조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명확하여 각각은 독립된 문화로 판단하였다. 편년은 주요 기종인 심발(深鉢), 분(盆), 준(尊), 호(壺), 두(豆), 기대(器臺)를 중심으로 형식을 설정하고 순서 배열법을 적용해 3기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토기 형태 변화에 따른 문화의 출현-발전-쇠퇴를 더욱 자연스럽게 설명하고, 교차편년 중심인 기존 편년의 문제점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탄소14연대 분석 결과, 샤오허옌문화는 훙산문화(红山文化) 만기와 일정 기간 병존하며, 샤자뎬하층문화(夏家店下层文化)와는 시간적 공백 없이 이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존속 기간은 약 3200~2000 B.C.E.로 추정된다. 지역 관계는 샤오허옌문화와 주변 문화(유형) 간의 동일 혹은 유사한 토기를 중심으로 상대편년을 비교하고, 탄소14연대와의 정합성을 검토한 후 교류의 성격 및 강도, 기원 등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샤오허옌문화의 형성에는 먀오쯔거우유형(庙子沟类型)의 강한 영향력이 제기되며, 쉐산1기문화(雪山一期文化)와 우팡유형(午方类型)을 비교하여 문화 교류 및 강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난바오리가오투유형(南宝力皋吐类型)에서는 절충형토기가 샤오허옌문화와 폔푸문화(偏堡文化) 간 교류의 허브로 작용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Xiaoheyan Culture (小河沿文化), previously regarded as a “missing link” in the Neolithic sequence of Northeast China. Its chronology is reassessed, and its cultural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 regions a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material culture of three debated regions, the Xiaoheyan Culture is defined as an independent tradition, distinguishable from the Xueshan Phase 1 Culture (雪山一期文化) and the Wufang Type (午方类型), based on differences in pottery types, vessel forms, decorative patterns, and burial structures. A chronolog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through the seriation of six major pottery types–deep bowl (深鉢), basin (盆), zun (尊), jar (壺), dou (豆), and pottery stand (器臺)-dividing the culture into three phases: emergence, development, and decline. Radiocarbon (C14) analysis places its existence at ca. 3200–2000 B.C.E., showing overlap with the late Hongshan Culture (红山文化) and continuity into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夏家店下层文化) without temporal gaps. Regional comparisons based on shared pottery types and radiocarbon consistency suggest that the Miaozigou Type (庙子沟类型) strong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Xiaoheyan Culture. Cultural exchanges with the Xueshan Phase 1 and Wufang traditions varied in intensity, while hybrid pottery of the Nanbaoligaotu Type (南宝力皋吐类型) indicates that this area functioned as a hub of interaction between the Xiaoheyan and Pianpu (偏堡文化) cultures.

목차

Ⅰ. 머리말
Ⅱ. 샤오허옌문화의 설정
Ⅲ. 샤오허옌문화 토기 편년 재검토
Ⅳ. 샤오허옌문화와 주변 문화의 관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예린. (2025).중국 요서지역 小河沿文化 편년 및 지역 관계. 한국고고학보, (), 725-754

MLA

문예린. "중국 요서지역 小河沿文化 편년 및 지역 관계." 한국고고학보, (2025): 725-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