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속성과 위계 협상의 장, 다원커우문화(大汶口文化) 부장의례

이용수  12

영문명
Negotiating Permanence and Hierarchy, Mortuary Rituals in the Dawenkou Cultur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임상택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36집, 693~72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 신석기시대 황하 하류지역을 대표하는 다원커우문화의 무덤 자료를 대상으로, 토기 부장을 중심으로 한 장송의례가 사회적 영속성과 위계질서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검토하였다. 왕인(王因), 다원커우(大汶口), 예뎬(野店), 시샤허우(西夏候) 등 핵심 유적들의 시기별 부장 양상과 기종 조합을 분석하고, 부장토기 조합을 유형화한 후, 부장의례의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기 부장량, 기종 수, 고급 기종 등이 증가하며, 특정 기종 조합의 정형화 및 복수 부장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화상을 기종별 용도와 상징의 측면에서 해석하여 음식과 술의 공헌, 공헌음식의 다양화 및 풍부화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정(鼎)과 배(杯) 기본 조합의 지속과 만기로 갈수록 두드러지는 토기 부장의 위계 차이라는 두 가지 현상을 개별 행위자들이 부장의례 과정에서 공동체의 영속성과 위계를 의도적으로 드러내려는 전략으로 해석하여 다원커우문화의 장송의례(부장의례)가 사회적 질서를 협상하고 실천하는 중요한 장이었음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mortuary rituals, with a focus on pottery offerings, in shaping social continuity and hierarchical order in the Dawenkou Culture, a representative Neolithic culture of the lower Yellow River region in China. By analyzing chronological patterns of burial assemblages and pottery combinations at key sites (Wangyin, Dawenkou, Yedian, and Xishahou) the study employs k-means clustering and heatmaps to typologically classify funerary pottery and trace the transformation of burial rituals. The analysis reveals a temporal increase in the quantity of pottery, diversity of vessel types, and the appearance of high-status items, along with the standardization of certain combinations and multiple-vessel offerings. These change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symbolic and functional significance of vessel types, reflecting the growing elaboration and diversification of food and alcohol offerings. The sustained combination of ding (cooking tripod) and bei (cup), alongside the pronounced disparities in burial wealth during the late phase, are understood as strategic actions by individual agents seeking to affirm communal continuity and display social hierarchy through funerary practices. The study argues that Dawenkou mortuary rituals functioned as a crucial arena for negotiating and enacting social order and permanence.

목차

Ⅰ. 머리말
Ⅱ. 다원커우문화 토기 부장 양상
Ⅲ. 다원커우문화 부장 토기 기종의 상징과 부장 유형
Ⅳ. 영속성과 위계 협상의 장, 다원커우문화 부장의례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상택. (2025).영속성과 위계 협상의 장, 다원커우문화(大汶口文化) 부장의례. 한국고고학보, (), 693-724

MLA

임상택. "영속성과 위계 협상의 장, 다원커우문화(大汶口文化) 부장의례." 한국고고학보, (2025): 693-7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