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과 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 sis o f Music Curriculum in K orea and the U.S.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진호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제54권 제3호, 263~2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전환시대에 나타나는 음악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음악교육 환경을 알아본 후, 디지털 도구의 발달에 따른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과정과 정책을 비교하여, 21세기 한국의 음악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의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미국의 연방정부 차원의 디지털 전환에 관련된 여러 음악교육 관련 정책들과 비교하여 현재 디지털 전환시대의 한국 음악교육의 정책적 과제와 나아갈 방향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디지털 전환시대의 음악교육의 성공을 위해서는 미국의 오바마 정부에서 시작된 ESSA의 '전인적 교육(well-rounded education)'과 같은 법적⋅재정적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디지털 전환시대의 디지털 역량 격차와 학교 현장의 인프라에 대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미국과 같이 지역 맞춤형 기술기반 음악교육모델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년군별 성취기준에 AI를 비롯한 DAW, 디지털 작곡도구, 음향 디자인 등, 디지털 도구에 대한 사용을 구체적으로 포함시켜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속적 연수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aradigm shift and evolving landscape of music education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iming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Korean music education by comparing curricula and polici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t first analyzes how digital literacy is embedded in Korea’s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en contrasts it with U.S. federal music education policies related to digital innovation. Through this comparison, key policy challenges and future strategies are identified for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successful advancement of music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legal and financial policies such as the "well-rounded education" approach introduced under the Obama administration's Every Student Succeeds Act (ESSA) in the U.S. are essential. Second, in order to address the digital divide and infrastructure disparities in schools, Korea should implement regionally customized technology-based music education models, similar to those in the United States. Third, achievement standards by grade level should explicitly incorporate the use of digital tools such as AI, DAWs (Digital Audio Workstations), digital composition tools, and sound design platforms to strengthen students’ digital literacy. Fourth, it is urgent to establish a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for enhancing teachers’ digital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II. 디지털 전환과 음악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III. 한국의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디지털 리터러시
IV.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과정 비교
V.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 음악 교과의 ‘강력한 지식’ 논의에 대한 변증법적 고찰: 맥페일의 ‘개념기반 교육과정’ 중심으로
- Prompt Engineering for AI Music Creation Learning: Application and Analysis Using SUNO AI
- Developing the Musical Skill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rough the Orff Approach
-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s in Gugak Knowledge Formation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Secondary Music Teachers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llege Entrance Performance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ospective Music Educators in Indonesia
- Measuring U.S. Music Teacher Educator Burnout: A Validation Study of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 Enhancing University Musical Instrument Elective Courses: Integrating Problem-Based and Team-Based Learning Models for Improved Learning Outcomes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과 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초등 음악창작 교육에서 매개변수형 AI 작곡 수업이 음악 자기효능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